"보건소장, 의사 우선 임용 안될시 제2 메르스 온다"

의협, 보건소장 의사 우선임용 고수' 1인 시위에 나서

대한의사협회(회장 추무진)가 국민의 건강·생명과 직결되는 보건소장은 보건의료전문가인 의사가 맡아야 한다는 것을 재차 강조하며 1인 시위에 나섰다.

지난 5월 17일, 국가인권위원회(이하 인권위)에서는 보건소장 임용 시 보건 관련 전문 인력에 의사를 우선 임용하는 것은 합리적인 이유 없이 특정 직종을 우대하는 차별행위로 판단했다.

이에 따라 보건복지부장관에게 관련근거인 '지역보건법 시행령'제13조 제1항의 개정을 권고한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의협은 "국민의 건강권 보호를 위해 동 권고사항에 대해 절대 반대한다"고 재차 강조했다.

현행 지역보건법 시행령 제13조제1항에 의하면 보건소에 보건소장 1명을 두되, 의사 면허가 있는 사람 중에서 보건소장을 임용하되 다만, 의사 면허가 있는 사람 중에서 임용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지방공무원 임용령' 별표 1에 따른 보건·식품위생·의료기술·의무·약무·간호·보건진료 직렬의 공무원을 보건소장으로 임용할 수 있다.

해당 조항의 취지는 보건소장은 국민의 건강 및 생명과 직결되는 중요업무를 수행하는 자리이기 때문에 의사면허 소지자의 임용이 우선돼야 한다는 원칙을 시행령상 명시한 것이다.

의협은 "특히 인권위는 동 조항이 특정 직종을 우대하는 차별행위로 판단된다고 밝히고 있다"며 "현행규정을 통해서도 의사 중 소장 임용이 어려운 경우에는 관련분야 직렬의 공무원을 보건소장으로 임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2015년 기준 전국 보건소장 현황을 보더라도 전체 252명 보건소장 중 의사가 아닌 보건소장이 149명(59%)에 달하고 있는 현실임을 감안할 때, 지역보건법 시행령 제13조제1항으로 인해 차별행위가 발생하고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는 것이 의협의 입장이다.

의협은 "일본의 경우 보건소장은 기본적으로 의사이면서 규정된 요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한해 임명하고 있다"며 "의사출신의 보건소장 임용이 불가능한 경우에 한해 비의사 출신을 임용할 수 있지만 2년이라는 제한기간을 두고 있다는 것을 적극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이런 상황에도 불구하고 최근 복지부에서는 국가인권위원회의 권고에 따라 관련 사항의 논의를 추진하려 하고 있다"며 "이는 절대 불가한 일이며, 궁극적으로 국민건강 보호라는 대승적인 목표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오히려 의사임용 우선조항 규정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선회해 입법을 추진하기를 촉구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아름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카카오톡
  • 네이버
  • 페이스북
  • 트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