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의약품생산 1위 한미약품…품목은 '퀸박셈주'

생산실적 16조 4200억…완제의약품 ↑ 원료의약품 ↓

지난해 국내 의약품 생산실적은 2013년과 비슷한 수준으로 완제의약품은 증가했고 원료의약품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의약품 생산 비중이 늘어나 약효군별로 항생제가 가장 많았고 국내에서 개발된 신약과 개량신약도 계속 증가하는 추세이다.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김승희)2014년 의약품 국내 생산실적은 164194억원으로 2013(163761억원)과 비슷했다고 밝혔다.

▲연도별 의약품 생산실적

지난해 완제의약품 생산액은 142805억원으로 2013(141325억원)에 비해 증가했으나 같은 기간 원료의약품은 22436억원에서 21389억원으로 소폭 감소했다.

수출액은 241562만달러로 2013(212837만달러)에 비해 13.5% 증가했으며, 수입액도 8.2% 증가한 521755만달러로 확대됐다.

수출이 늘어났지만 수입도 증가해 2014년 국내 의약품 시장규모도 2013(193244억원)과 비슷한 193704억원이었다.

▲연도별 국내 의약품 시장규모 현황

지난해 국내 의약품 생산실적은 전문의약품 중심 생산 국내개발신약 및 개량신약 생산실적 증가 약효군별 1위는 항생물질제제한미약품이 실적 1수출 증가세 지속되는 것으로 분석됐다.

2014년 완제의약품 생산액(142805억원) 중 전문의약품은 118675억원(83.1%)이었으며 일반의약품은 24130억원(16.9%)으로 조사됐다.

전문의약품이 차지하는 비율은 의약분업 이후 지속적으로 상승해 2009년 이후부터는 80%대 초반을 유지하고 있다.

원료의약품의 경우 지난해까지 지속적인 성장세를 이어오다 지난해에는 약 1천억원 감소(4.7% 하락)21389억원으로 조사됐다.

국내개발 신약, 개량신약 생산실적 증가

지난해까지 국내에서 개발된 신약 21개 중 생산된 15개 품목의 실적은 1092억원으로 2013(1065억원) 대비 2.5% 증가했다.

1위는 혈압강하제인 카나브정’(400억원)이었으며, 그 뒤로 당뇨병약 제미글로정’(139억원), 소화성궤양용제 놀텍정’(122억원), 발기부전치료제 자이데나정’(117억원) 등의 순이었다.

이러한 순위는 고령화에 따른 고혈압, 당뇨 등의 만성질환에 따른 꾸준한 수요 등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40품목이 허가된 개량신약의 경우 지난해 1693억원이 생산돼 2013(1665억원) 보다 1.7% 증가했다.

한미약품의 아모잘탄정’(혈압강하제)720억원 생산돼 3년 연속 가장 많았으며, 그 뒤로 프레탈서방캡슐’(129억원), ‘리세넥스플러스정’(100억원) 등의 순이었으며, LG생명과학의 제미메트서방정’(38억원)2013(8억원)보다 388% 증가해 가장 큰 증가율을 기록했다.

희귀의약품 생산·수입실적은 희귀의약품 지정확대 정책과 맞물려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가운데 생산실적은 16품목 314억원으로 2013(14품목, 217억원)대비 44.7%나 증가했다.

녹십자의 헌터라제 주사액176억원을 생산돼 2년 연속 가장 많았으며 수입의 경우 혈우병 환자 출혈 치료제인 노보노디스크의 노보세븐알티주’(1944만달러)가 가장 많이 수입됐다.

약효군별 생산실적 1항생물질제제

약효군별 생산실적은 항생물질제제1764억원으로 2013(1674억원) 2위로 내려간 후 다시 1위로 올라섰으며, ’혈압강하제‘(1163억원), 동맥경화의 증상을 개선하는 동맥경화용제‘(9154억원)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약효군별 수입실적은 항악성종양제’(45524만달러)로 가장 많았으며, 그 뒤로 백신류‘(28806만달러), ’당뇨병용제‘(22050만달러), ’혈압강하제‘(21980만달러) 등의 순이었다.

생산실적 1위 한미약품, 생산품목 1위는 퀸박셈주

한미약품이 지난해 5837억원을 생산해 실적 1위를 차지했고, 그 뒤로 종근당’(5425억원), ’동아에스티’(5308억원), ‘녹십자’(5284억원)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상위 30개사의 생산실적은 전체 52.4%를 차지했으며, 1000억원 이상의 실적을 올린 제약사수는 전년과 동일한 44개사였다.

수입실적은 한국화이자제약462만달러로 가장 많았으며 그 뒤로 한국엠에스디’(34890만달러), ’한국노바티스’(27270만달러) 등 이었다.

이들 상위 3개사의 실적이 전체의 19.6%를 차지했으며, 상위 30개사는 65.8%를 점유했다.

완제의약품 생산실적에서는 베르나바이오텍코리아의 퀸박셈주1002억원 생산돼 가장 많았으며, 그 뒤로 녹십자 알부민주20%’(868억원), 대웅제약 글리아티린연질캡슐’(670억원) 등의 순이었다.

상위 30개 품목 중에서는 녹십자제품이 4개로 가장 많았고 일반의약품은 3(까스활명수큐액, 인사돌정, 판피린큐액)였다.

완제의약품 중 실적 증가율이 가장 높은 순서는 동아에스티의 그로트로핀투주'(65.5% 증가), 녹십자의 아이비글로불린에스엔주‘(52.5% 증가) 등이었다.

완제의약품 수입실적에서는 한국화이자제약의 프리베나138152만달러 수입돼 가장 많았으며, 이어 한국비엠에스제약 바라크루드정0.5mg’(6260만달러), 한국로슈 허셉틴주150mg’(5574만달러) 등의 순이다.

상위 30개 모두 전문의약품이며, ‘한국화이자제품이 6개로 가장 많았다.

의약품 수출 증가세 지속

지난해 완제의약품 수출은 123393만달러, 원료의약품 수출은 118169만달러로 총 수출액은 241562만달러이며 2013(212837만달러)에 비해 13.5% 증가해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이중 일본에 대한 수출이 38564만달러로 가장 많았고, 그 뒤로 중국(16001만달러), 터키(15597만달러) 등 순이었으며 상위 20개국에 대한 실적이 전체의 75.6%를 차지했다.

지난해의 경우 크로아티아(5667만달러), 캐나다(5725만달러), 터키(15597만달러), 아일랜드(12303만달러)로의 수출이 크게 늘어나 각각 544%, 175%, 118%, 72%의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연도별 의약품 수입실적

국내로 수입되는 의약품은 미국산(61266만달러)이 가장 많았으며 그 뒤로 독일산(56126만달러), 중국산(51915만달러) 등이었으며 상위 20개국의 실적이 전체의 95.8%를 차지했다.

의약품의 수출 증가율(13.5%)이 수입(8.2%)보다 크지만 수입액이 수출액보다 두 배 이상 큰 구조로 지난해 의약품 무역수지는 28억달러 적자였다.

원료자급도의 경우 지난해에는 31.7%‘13(34.2%) 보다 2.5% 감소했으나 2년 연속 30%를 넘었다.

식약처는 수출 증대와 국내 제약기업의 국제적 성장을 위해서 수입당국과의 협력강화, 품질기준의 국제조화 등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것이며, 지난해 7PIC/S(의약품실사상호협력기구) 회원국 가입이 국내 의약품 수출에 긍정적 효과로 작용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원식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카카오톡
  • 네이버
  • 페이스북
  • 트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