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아산병원 이지호 교수, '얼굴의 인문학' 출간

20년 임상 경험 바탕 얼굴의 정체성·사회적 의미 탐구

서울아산병원 구강악안면외과 이지호 교수가 최근 얼굴뼈의 역사와 의미를 인문학적 시각에서 풀어낸 '얼굴의 인문학'을 출간했다.

악안면은 머리뼈 중에서도 얼굴을 형성하는 부위로, 인간의 외모와 첫인상과 사회적 관계, 정체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

저자인 이 교수는 "미의 기준, 성형, 양악수술, 노화, 질병 등 얼굴에 얽힌 수많은 이야기가 결국 얼굴뼈에서 출발한다"고 설명한다.

그는 20년 넘는 시간동안 수술실 안팎에서 마주한 다양한 얼굴의 의미를 성찰·탐구해, 얼굴뼈가 지닌 사회적 의미와 역사를 책에 담았다.

얼굴의 인문학은 △영혼을 담은 수수께끼의 퍼즐, 얼굴뼈 △얼굴뼈를 인간답게 만드는 것 △얼굴뼈와 인간 문명 등 세 장으로 구성됐으며, 얼굴뼈의 원초적 구조·정체성과 혀·잇몸·신경 등과의 기능적 연관성, 문명 속 얼굴의 역사적 의미를 차례로 풀어냈다.

또한 일반 독자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직접 그린 일러스트·웹툰을 함께 삽입했다.

이지호 교수는 "얼굴은 인간 정체성의 중심이 되는 중요한 요소지만 근원이 되는 얼굴뼈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며 "이번 책을 통해 많은 사람들이 자신의 얼굴과 삶을 새롭게 바라보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김아름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카카오톡
  • 네이버
  • 페이스북
  • 트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