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 질환, 단순 청력 문제 아닌 전신 질환 신호"

서울귀감이비인후과 박미나 원장 "자율신경 이상 동반 가능성 있어"

현대인에게 흔히 나타나는 어지럼증, 이명, 난청 등은 단순히 귀에만 국한된 문제가 아니다. 겉으로는 청력 저하나 귓속 불편감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뇌의 혈류 이상, 자율신경계의 불균형, 면역체계의 저하 등이 복합적으로 얽혀 나타나는 전신 질환의 신호일 수 있다.

특히 스트레스, 수면 부족, 만성 피로 등으로 신체 밸런스가 무너진 상태에서 이런 증상이 나타나면 회복이 더디거나 만성화될 가능성이 크다. 원인 치료 후에도 어지럼이나 불안이 지속되는 '이차성 자율신경 불균형' 환자들이 늘고 있어 정밀한 진단이 요구되고 있다.

의학적으로 어지럼증은 전정기관 이상(이석증, 전정신경염, 메니에르병 등)에서 비롯된다. 이명은 귀 내부의 잡음뿐 아니라 불면, 불안, 우울 등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다. 난청 역시 단순 노화성 원인 외에도 돌발성 난청, 만성 중이염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한다.

서울귀감이비인후과 박미나 원장

이비인후과 분야에서 일반적인 치료 방법으로는 △약물치료(혈류개선제, 이뇨제, 신경안정제 등) △전정 재활치료(평형 감각 회복 운동) △이석치환술(이석증 치료) △보청기 및 인공와우 등 청력 보조기기 치료 △심리·인지 치료(이명으로 인한 불안 및 불면 완화) 등이 있다.

최근에는 '자율신경 주사 치료'가 주목받고 있다. 이 치료는 과민해진 자율신경계를 안정시켜 어지럼, 이명, 만성 피로 등 복합 증상을 완화하는 방식이다. 스테로이드나 진통제를 사용하지 않아 부작용이 적고, 임산부나 고령층에게도 비교적 안전하게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서울귀감이비인후과 박미나 원장은 "귀 질환은 단순히 청력의 문제로 한정해선 안 된다. 귀, 뇌, 신경계의 상호작용 속에서 환자의 전신 상태를 종합적으로 판단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이에 서울귀감이비인후과는 대학병원 수준의 진단 인프라를 구축해 청력검사, 고막 운동성검사, 청성뇌간반응검사(ABR), 전기와우도검사 등을 정밀하게 시행하고 있다.

박 원장은 "돌발성 난청 환자에게는 고용량 스테로이드 요법과 고막 내 주사, 수액 요법을 병행하며, 최근에는 고압산소치료기를 도입해 치료의 폭을 넓혔다"며 "청능사·평형사 등 전문 인력이 체계적으로 진단과 치료의 신뢰도를 높이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귀 질환은 단순히 청력 저하에 그치지 않고, 환자의 일상과 정신 건강, 삶의 질 전반에 영향을 미친다"며 "앞으로도 정밀 진단과 자율신경 중심의 통합 치료 시스템을 통해 환자의 건강 회복과 삶의 질 향상에 힘쓰겠다"고 강조했다.

 


김아름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카카오톡
  • 네이버
  • 페이스북
  • 트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