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상엽의 해외여행 감염병 이야기(20)

해외여행 시 주의해야 할 감염병 13편 <파상풍>

지난 시간 <홍역>에 이어 이번 시간에도 해외여행 중 주의해야 할 감염병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살펴보려고 한다.

<파상풍이란?>
파상풍의 원인균은 포자(spore)를 형성하는 혐기성(anaerobic) 그람 양성 세균인 파상풍균(Clostridium tetani)이다. 환경에 널리 퍼져있는 파상풍균의 포자가 특정 조건에서 체내에 들어오면 독소를 생성하면서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우리나라 감염병 분류체계상 제3급 법정감염병이다.

# 파상풍의 전파
일반적으로 파상풍은 일반적으로 흙, 동물 또는 사람의 배설물이나 타액으로 오염된 상처, 괴사 조직 등 특정 상처에 파상풍 포자가 들어갈 때 감염된다. 눈에 보이지 않는 상처를 통해서도 파상풍 포자에 감염될 수 있다.

▲KMI한국의학연구소 신상엽 수석상임연구위원(감염내과 전문의, 국제여행의학회 여행의학 인증의)


신생아 파상풍은 제대로 소독되지 않은 기구로 탯줄을 절단하거나 배꼽을 비위생적으로 처치한 경우에 발생한다. 파상풍은 사람 간 직접적인 전파는 일어나지 않는다.

# 파상풍의 역학
파상풍은 전세계적으로 발생한다. 특히, 농업 지역, 토양이나 동물 배설물과의 접촉 가능성이 높은 지역, 따뜻하고 습한 환경, 파상풍 예방 접종이 불충분한 지역에서 더 흔하게 발생한다.

파상풍은 포자가 환경에 존재하기 때문에 박멸할 수 없다. 아프리카 등의 개발도상국을 중심으로 WHO에 보고되는 파상풍 사례가 10,000건이 넘으며 보고된 환자의 상당수는 신생아 파상풍으로 알려져 있다. 국내에서 파상풍은 매년 20건 정도가 보고된다.

# 파상풍의 증상 및 경과
파상풍의 잠복기는 10일(3-21)일 이다. 잠복기가 짧을수록 증상이 심하고 예후가 좋지 않다.국소 파상풍, 두부 파상풍, 전신 파상풍, 신생아 파상풍으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국소 파상풍은 포자가 침투한 부상 부위에 국한된 근육 경련이 나타난다. 일반적으로 증상이 심하지 않고 자연 회복되는 경우가 많다. 두부 파상풍은 머리 또는 얼굴의 상처에 포자가 침투하여 중추 신경이 지배하는 근육인 안면신경이나 외안근 등의 마비가 나타난다.

국소 및 두부 파상풍에서 전신 파상풍으로 진행되는 경우가 있다. 전신 파상풍은 전체 파상풍의 80% 이상을 차지하는 가장 흔한 형태로 턱관절장애, 복부강직, 후궁반장(opisthotonus) 및 호흡근육 경직에 의한 호흡곤란이 나타나며 완전히 회복되기 위해서는 보통 수개월이 소요된다.

신생아 파상풍은 초기에는 모유를 먹지 못하고 무력감만 보이다가 후기에는 근육경직이 나타난다. 회복 후에도 장기적인 후유증이 나타날 수 있다. 신생아 파상풍은 바로 진단 후 집중 치료를 받아도 치사율이 10%가 넘으며 제대로 치료받지 못한 경우 90% 이상의 사망률을 보여 개발도상국 영아 사망률의 주요 원인을 차지한다.

# 파상풍의 진단
파상풍은 증상과 진찰 소견을 가지고 임상 진단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파상풍 의심 시 역학적 근거가 될 수 있는 사건(분만, 피부 상처 등)이 없었는지 잘 확인해야 한다. 통상적으로 균이 잘 배양되지 않기 때문에 균 배양을 통한 확진은 어렵다.

# 파상풍의 치료
파상풍 면역 글로불린(TIG)을 즉시 투여하여 순환하는 독소를 비활성화하고 적극적인 상처 부위 배농, 절제 및 항생제 사용으로 파상풍균을 최대한 제거해 추가 독소 생성을 막아야 한다.

경련을 최소화하기 위해 조용하고 어두운 방에 입원시키고 경련과 자율신경 장애를 조절하는 약제를 사용하고 호흡이 어려운 경우 인공호흡기 등을 사용해야 한다.

# 파상풍의 예방
파상풍은 효과적인 백신과 면역 글로불린이 개발되어 있다. 정규 예방접종의 경우 소아기에는 DTaP 백신을 접종하며, 성인기에는 Tdap 또는 Td 백신을 접종한다.

상처 발생 시 예방접종은 정규 예방접종 완료여부와 상처의 오염정도에 따라 Tdap 또는 Td 백신을 접종한다. 오염되었거나 깊은 상처의 경우에는 예방 목적으로 파상풍 면역 글로불린(TIG) 투여가 필요한 경우도 있다.

/KMI한국의학연구소 신상엽 수석상임연구위원(감염내과 전문의, 국제여행의학회 여행의학 인증의)


보건신문의 전체기사 보기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카카오톡
  • 네이버
  • 페이스북
  • 트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