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상엽의 해외여행 감염병 이야기(13)

해외여행 시 주의해야 할 감염병 6편 <황열>

지난 시간 <지카바이러스 감염증>에 이어 이번 시간에도 해외여행 중 주의해야 할 감염병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살펴보려고 한다.

<황열이란?>
황열은 플라비바이러스속(geuns Flavivirus) 황열바이러스(YFV, yellow fever virus)에 감염돼 발생하는 병으로 우리나라 감염병 분류체계상 제3급 법정감염병이다. 황열은 황달이 나타나 피부가 노랗게 변한 환자의 모습을 보고 붙여진 이름이다.

KMI한국의학연구소 신상엽 수석상임연구위원(감염내과 전문의, 국제여행의학회 여행의학 인증의)

# 황열의 전파
황열은 황열바이러스에 감염된 숲모기(Aedes species) 또는 헤모고거스모기(Haemogogus species)가 사람을 물 때 주로 전파된다. 
 
전파 양식에 따라 야생형(sylvatic/jungle cycle), 중간형(intermediate/savannah cycle), 도시형(urban cycle)으로 구분한다.

야생형은 정글에서 '모기'와 '영장류' 사이에 바이러스가 순환하고 있다가 정글에 들어간 사람이 모기에 물려 감염된다. 

중간형은 정글 경계지역에서 주로 '모기'와 '인간 및 영장류' 사이에 바이러스가 순환하는 과정에서 감염되며, 도시형은 사람이 밀집된 도시에서 '모기'와 '인간' 사이에 바이러스가 순환하는 과정에서 감염된다.

인간에게 발생하는 황열은 대부분 야생형이나 중간형 전파에 의해 발생하며 도시형 전파는 산발적으로 나타난다.

인간은 보유 숙주로 황열 증상이 나타나기 직전부터 증상이 나타난 후 첫 3~5일간 높은 수준의 바이러스혈증이 유발된다. 이 시기에는 수혈에 의한 감염이 가능하다. 감염된 모체로부터 아이에게 수직감염이 보고된 적이 있으나 일반적인 전파 형태는 아니다. 

# 황열의 역학
황열은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와 열대 남미 지역의 풍토병이다.

아프리카 지역에서는 바이러스가 지속 순환하면서 나이가 들수록 자연면역이 형성되는 경우가 많아 나이가 어릴수록 감염 위험이 높으며, 남미 지역에서는 예방접종을 받지 않고 산림지역에서 작업하는 젊은 사람들이 감염되는 경우가 많다. 아직 국내에서는 황열 발생 보고가 없다.

# 황열의 증상 및 경과
황열바이러스에 감염된 대부분의 사람들은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 잠복기는 3~6일이며 경증의 경우 발열, 두통, 근육통 등이 나타나지만 대부분 48시간 이내에 호전된다.

하지만 감염된 환자의 10~15% 정도는 고열, 황달, 출혈, 쇼크 등의 중증으로 진행하며, 이 경우 다발성 장기부전으로 사망하는 경우도 많다.

# 황열의 진단
황열이 발생하는 지역을 여행하고 돌아온 후 1주 이내에 발열, 근육통, 황달, 출혈 증상이 나타나면 황열을 반드시 감별진단에 넣고 진찰하고 검사해야 한다. 황열의 진단은 주로 핵산증폭검사, 혈청검사(특이 IgM 및 IgG 항체)를 통해 이루어진다. 

# 황열의 치료
황열은 효과적인 항바이러스제가 아직 개발되지 못한 상태로 증상에 따른 대증치료를 한다.

# 황열의 예방
황열 예방을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모기에 물리는 것을 피하는 것이다.
 
효과적인 백신이 개발되어 있으므로 필요한 경우 여행 전 예방접종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 황열 백신은 아프리카 또는 남미에서 황열 위험 지역에 거주하거나 해당 지역을 여행하는 생후 9개월 이상의 사람에게 권장한다. 황열 백신은 생백신으로 1회 접종으로 평생 면역력이 유지된다.

일부 국가에서는 입국 서류로 황열 예방접종증명서를 요구하는데, 이 경우 예방접종은 최소 출국 10일 전에 해야 하고 의학적으로 예방접종을 받을 수 없는 경우에는 황열예방접종면제증명서를 발급받아 지참해야 한다.

국내에서 황열 예방접종 및 예방접종증명서 발급은 국립검역소 및 국제공인예방접종지정기관에서 가능하다.

/KMI한국의학연구소 신상엽 수석상임연구위원(감염내과 전문의, 국제여행의학회 여행의학 인증의)


보건신문의 전체기사 보기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카카오톡
  • 네이버
  • 페이스북
  • 트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