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치과계에는 보철물을 디지털 방식으로 제작하는 이른바 '디지털 덴티스트리' 열풍이 거세다.
기존의 보철물은 치아의 본을 뜨는 것부터 석고 모형을 제작하여 보철물을 제작하는 작업이 온전히 치과의사와 치과 기공사의 손을 거쳐 이뤄졌다. 보철물 제작 공정에서 컴퓨터의 도움을 받는 CAD/CAM(computer-aided design and computer-aided manufacture)가 도입된 것이 엊그제 같더니만, 이제는 본을 뜨는 것부터 전 과정이 컴퓨터의 도움으로 이루어지는 시대가 바야흐로 도래한 것이다.
개원을 앞둔 치과의 홍보 문구로서 '저희는 환자분이 편안한 '디지털 덴티스트리'를 도입하여 전 과정이 정밀한 디지털로 이루어집니다' 등의 글귀들을 심심찮게 만날 수 있다.
대략적인 진료 과정은 본을 뜨기 전까지의 과정이 기존과 동일하지만, 본을 뜨는 과정이 구강 스캐너를 통해 디지털 데이터로 저장되고, 이것이 CAD프로그램으로 전달된 후 컴퓨터에서 디자인되는데, 이를 밀링 머신이라고 하는 기계가 지르코니아라고 하는 재료를 정밀하게 깎아서 보철물의 형태로 만든다.
이 재료는 이후 가공과정에서 수축하게 되는데, 이는 고도로 계산되어 있으며 여기에 색을 입혀서 구강 내에 장착하게 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다른 보철 재료도 디지털 제작이 가능한 경우가 있지만, 대부분의 디지털 진료는 지르코니아라고 하는 보철 재료에 기반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디지털 덴티스트리가 도입되면서 환자에게 좋은 점은 무엇일까? 뭐니 뭐니 해도 앞서 이야기한 구강 스캐너를 이용해 보다 쾌적하게 본을 뜰 수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기존에 본을 뜨는 방식은 금속 혹은 플라스틱의 틀에 본 뜨는 재료를 주입하고, 이를 입안에 넣어 치아에 밀착시켜 그 모양을 인기해 내는 과정인데, 구강 스캐너를 이용하면 권총 모양의 장비가 치아의 사진을 찍는 것과 같이 형태를 인식하여 이를 3차원 데이터로 바꿔 준다.
기존의 본 뜨는 방식도 안정적이긴 하지만 숙련자라고 해도 재료가 굳는 것을 3-4분 잠자코 기다려야 하는 반면 구강 스캐너는 숙련된 기술자라면 훨씬 빠르게 데이터를 얻는 것이 가능하며, 풍치로 인해 약해진 치아를 갖고 있는 환자나 구강에 무언가 들어가면 구역감을 일으키는 환자들이 보다 편안하게 본 뜨는 과정을 경험할 수 있게 해 준다.
이 외에도 임플란트를 심는 환자에서 그 위치를 컴퓨터로 미리 계산하여 가이드 수술을 위한 장치를 만드는 것도 디지털 치과의 일환이며, 치과용 3D프린터를 도입하여 임시 보철물을 출력하는 치과도 많아지고 있고 이는 환자가 치과 의자의 앉아 있는 시간을 줄여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럼 이렇게 디지털로 만들어진 보철물이 과거의 소위 아날로그식으로 만들어진 보철물보다 모든 면에서 우월할 수 있을까? 뻔한 결론부터 말하자면 그럴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디지털로 제작하더라도 그 과정에서는 많은 오차가 존재하고 이러한 오차를 미리 예상하여 기기들의 세팅을 잡아 주는 것이 노하우의 핵심이 된다.
이는 오랜 경험에서 비롯되는 것이므로 디지털로 된 보철을 구강 내에 장착하고 싶다면 이러한 디지털 치과 진료에 대한 오랜 경험을 가진 치과를 선택하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또한 대부분의 치과들은 보철물 제작을 외부 치과 기공소에 의뢰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대형 치과들은 원내에 치과 기공 장비와 인력을 갖추고 자체적인 보철 제작을 진행하는 경우가 점점 많아지고 있다.
이 경우 아무래도 의사소통의 단계가 줄어들고 보철물 제작의 착수가 빠른 경우가 있으므로, 자신의 구강 내에 들어갈 보철물을 디지털로 제작하기 원하고, 이 결과물에 대해 기능적 및 심미적으로 많은 기대를 하고 있는 환자라면 선택한 치과가 자체 기공실을 갖추고 있는지를 체크해 보는 것도 도움이 될 것이다.
Copyright @보건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