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아가 시큰거린 증상을 일시적이라 여기고 방치하다가 심한 통증을 겪은 후에야 치과를 방문하는 이들이 많다. 대게 이런 경우 치아우식증, 즉 충치가 깊숙하게 치수까지 진행되어 있는 경우를 볼 수 있다.
치아는 가장 겉면의 단단한 법랑질과 상아질 그리고 내부에는 신경과 혈관이 합쳐진 연조직 형태의 ‘치수’가 있다.
충치가 심하거나 여러 이유로 충격이 가해져 치아가 깨지게 되면 균이 침투하면서 치수조직에 염증이 생기고 통증을 유발하게 된다.
염증이 생긴 치수조직은 이전의 상태로 되돌릴 수 없기 때문에 긁어내어 제거하는 과정이 필요한데, 이 치료가 우리가 흔히 말하는 신경치료다. 정확한 명칭은 뿌리 관, 근관치료라 말하며 충치를 제거한 다음 오염된 내부를 뿌리 끝까지 깨끗하게 긁어낸 후 소독한 다음 대체할 재료를 채워 넣어 밀봉하여 막아준다.
신경치료는 치아 전체를 감싸는 수복물인 ‘크라운’을 씌우면 마무리가 된다. 하지만 간혹 크라운을 꼭 씌워야 하는지 문의를 하는 환자들이 있고, 간혹 크라운을 씌우지 않고 지내는 경우도 볼 수 있다.
하지만 신경치료의 목적은 자연치아를 최대한 살려 발치하지 않기 위한 마지막 방법이라 말하는 만큼 크라운을 씌워 치아의 내구성을 향상하여 마무리를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크라운을 씌우지 않은 채 방치하면 생길 수 있는 여러 문제가 있다. 우선, 완전히 밀봉되어 있지 않은 미세한 틈새 사이로 세균이 유입되기 쉬워지는데 이로 인해 염증이 재발하더라도 감각을 느낄 수 없는 내부 상태이기 때문에 재발하더라도 자각하지 못하고, 나중에서야 발견하는 경우도 있다.
이 때는 다시 처음으로 돌아가 치료를 진행해야 하는데, 성공률은 처음보다 떨어지게 된다. 또한 이미 한 번의 치료로 약해진 치아이기 때문에 저작 기능 시 치아의 테두리가 쉽게 부서질 수 있고, 금이 가거나 치아가 쪼개지게 되면 발치 후 임플란트 식립이 필요한 상황이 생긴다.
따라서 당장은 불편함이 있더라도 크라운을 씌워 신경치료를 마무리하는 것이 좋다. 크라운은 물리적인 성질이 자연치아와 가장 유사하고 내구성이 좋은 금을 대체로 사용한다. 하지만 금은 빠르게 차갑고 뜨거워지는 단점으로 인해 민감한 환자라면 적합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다른 재료를 고려해볼 수 있다.
이처럼 모든 치과재료는 장단점이 있는 만큼 환자의 현재 상태와 의료진의 정확한 진단을 바탕으로 합리적인 재료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엇보다 최후의 수단이라 말하는 신경치료는 최악의 경우 임플란트를 진행해야 하기 때문에 치아 건강을 위해서도 경제적으로도 본인에게 적합한 크라운을 씌워 치아를 보존하도록 하는 것이 현명한 방법이다.
Copyright @보건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