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선민 신임 원장 "심평원 위상 재정립 위해 내부개혁 실현"

소통 채널 다양화…"고가약제 사화적 합의 공론화 등 방안 적극 검토"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김선민 신임 원장은 20일 원주 본원에서 기자간담회를 개최하고 △정보통신체계의 혁신적 업그레이드 △건강보험과 의료체계 관련 기술적 제도적 장치 마련 △인사교육제도 개선 등 3가지 분야에 역점을 두고 업무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심사평가원이 리포지셔닝(Re-Positioning)을 통해 업무의 기능과 위상의 재정립을 꾀하는 한편, 국민, 정부, 의료계 및 지역사회 등 이해 당사자들과 동반 성장을 위한 소통의 장을 더욱 활성화 하겠다는 계획이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김선민 신임 원장은 20일 원주 본원에서 기자간담회를 개최하고 정보통신체계의 혁신적 업그레이드 건강보험과 의료체계 관련 기술적 제도적 장치 마련 인사교육제도 개선 등 3가지 분야에 역점을 두고 업무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김선민 원장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걸맞도록 정보통신체계를 혁신적으로 업그레이드 하겠다"고 강조하고 "심평원이 보유한 다양하게 집적된 데이터를 여러 분야에서 활용 가능토록 힘쓰겠다"고 말했다.

코로나19 등 국가위기 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체계 구축을 위해 각종 데이터를 연계 활용 가능한 시스템을 갖추겠다는 구상이다.

김 원장은 “이번 코로나19 사태를 잘 극복할 수 있었던 것은 정보 인프라를 활용한 실시간 데이터 제공 노력이 코로나19 방역 성공에 큰 역할을 했다”고 자평하며 “향후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대비해 국민의 관점에서 필요한 정보를 발굴하고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환자와 국민이 중심이 되는 건강보험과 의료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관련 기술적· 제도적 장치를 마련할 방침이다.

국민을 중심에 둔 소통의 체계성을 갖추기 위해서는 환자와 국민이 다양한 목소리를 자유롭게 낼 수 있고, 이를 체계적으로 수렴할 수 있는 일원화된 소통창구를 마련할 계획이다.

김 원장은 “의료계와 제약계, 환자단체 등과의 소통은 채널의 다양화를 통해 원활한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도록 개선해 나갈 것”이라며 “고가약제에 대해서는 사회적 합의를 얻을 수 있도록 공론화 방안 등 국민들의 의견을 적극 수용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적정성 평가와 다양한 위원회 등 심평원 업무 전반에 국민의 의견이 반영될 수 있도록 국민 중심의 참여 체계를 마련한다.

심평원 내부의 통합적 인적자원 관리 체계를 구축하고 인사·교육제도를 개선할 계획이다.

김 원장은 "최근 몇 년간 심평원은 대규모 채용으로 급격하게 직원 수가 늘어난 것과 관련해 일각에서 직원들의 전문성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는 목소리도 있었다"면서 "전문성에 기반 한 국민의료평가기관으로서 소임을 다하기 위해 올해부터 학점이수제, 역량평가, 전문가트랙 등을 적극 도입하고 다양한 교육 기회와 이러닝을 확대할 것"이라고 밝혔다.

지난해 심사체계 개편의 일환으로 도입한 분석심사 서도사업 평가와 관련해 김 원장은 "분석심사 선도사업 준비단계에서부터 분석심사 도입이후 전과정에 의료현장 전문가와 함께 분석심사 모형을 개발·보완했다"면서 "의학적 근거 기반의 심사기준 설정 및 수가개선 등 분석심사의 안정적 정착·확대 기반을 마련해 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심평원은 향후 의료계와 지속적인 소통을 통해 문제점과 개선사항을 적극 발굴하고 선도사업에 대한 효과분석과 보완을 거쳐 2023년까지 단계적으로 확대를 목표로 추진할 예정이다.

또한 현행 건단위 심사방식도 심사체계 개편 로드맵에 따라 의학적 근거에 기반해 심사 전 과정에 분석기능을 수행하는 심사방식으로 전면 개편해 제도 개선사항을 발굴·개선하고 이후 심사에 적용해 나갈 계획이다.

김 원장은 "정부의 보장성 강화 정책의 기조에 따라 고가약제에 대해 사회적 합의를 얻을 수 있도록 공론화 방안 등 국민들의 의견을 적극 수용하는 한편 신약의 접근성은 신속하게 하고, 사후 관리 시스템 구축과 재평가를 통해 건강보험 재정 안에서의 합리적 지출이 이루어지도록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홍유식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카카오톡
  • 네이버
  • 페이스북
  • 트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