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상사례>금경·기마크봉 보제 질병 치료 효과 입증

전기테스터로 금경·기마크봉 효과 유무 파악
'생체 전류'생명유지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

전민중 <10기 학술위원>   
▲ 전민중 <10기 학술위원> 
  
1. 실험의 목적
전기 테스터(Tester)를 통해 금경과 기마크봉과의 관련 효과 유무를 파악하고자 한다.
2. 실험 방향
기마크봉 금색·은색을 각 금경별로 보법, 제법에서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부착해 저항치를 확인한다(通電 여부 확인).
3. 실험 참가자 : 전민중, 윤성현, 태용순
  
4. 실험에 사용한 기구
(1)전기 테스터
HIOKI 3803 Digital HiTester(400mV ~1000V, 400㎂~10A, 400Ω~40㏁)
(2)전기 테스터
HIOKI 3244 Card HiTester
(3)온도계
ORECON SCIENTIFIC digi-thermo(-55℃ ~ +148℃)
(4)습도계
日産 H1 testo
(5)기마크봉 대형 금색 및 은색
  
5. 실험 개요
(1)인체는 성인 남성 기준으로 약 75조 개 정도의 세포로 구성돼 있다.
(2)세포에는 공급되는 영양분과 소모되고 난 노폐물이 체액에 녹아 이온화된 상태에서 끊임없이 들락날락하게 된다.
(3)세포는 세포막으로 둘러쌓여 있으며 이 세포막을 사이에 두고 영양분과 노폐물이 해리돼 그 해리된 농도차(삼투압)에 의해 다량의 염류(Na, K 등)들이 전위차를 갖고 들락날락하고 있는 것이다.
(4)이 전위차에 의해 인체는 생체 전류(생체 전기 혹은 미세 전류)가 발생함과 동시에 일정한 전압을 유지하고 있다.
출생 시 전압은 5~6V이나 나이가 들면서 절반 정도(2.5V 이하)로 떨어지다가 타고난 생체 전류가 다하면 사망에 이르게 된다.
(5)이렇게 발생한 생체 전류는 뇌와 신경섬유 등을 통해 우리 몸의 생명현상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게 된다.
(6)이 생체 전류가 이상치를 보일 때 인체는 6장 6부와 혈관 등의 움직임을 지배하는 자율신경의 균형이 흐트러지고 열, 통증 등의 승증 반응이나 원기 부족, 불안, 우울증 등의 허증 반응과 같은 다양한 신체 기능의 부조화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7)실험은 기마크봉 대형 금색과 은색을 피부 금경상에 부착하면 피부와 금속이 하나의 전지 형태를 이뤄 금속의 이온화 경향 성질로 인해 인체내 금경에 미세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 미세 전류는 금경의 유주 방향에 따라 보(補) 혹은 제(制)의 방향으로 생체 전류에 가감돼 질환이나 증상이 완화되거나 혹은 악화가 될 수 있는 가능성을 실험적으로 보게 된다.

①금속의 이온화 경향이란
금속이 이온화 서열에 의해 전자를 잃어버리고(산화) 양이온이 되려는 경향을 말한다.
②이온화 서열
←이온화 경향, 금속성, 반응성이 크다
K, Ca, Na, Mg, Al, Mn, Zn, Cr, Fe, Cd, Co, Ni, Sn, Pb, H, Cu, Hg, Ag, Pt, Au
이온화 경향이 작다→

6. 실험 방법
특정인의 몸을 좌우로 구분해 팔에는 주관절과 금전혈에, 다리에는 슬관절과 금전혈에 각 금경별로 보법, 제법으로 기마크봉을 부착한 상태에서 정방향, 역방향으로 저항치를 확인한다.
(1)정방향 - 테스터의 (-)단자를 기마크봉 은색에, ?단자를 기마크봉 금색에 대고 측정
(2)역방향 - 테스터의 (+)단자를 기마크봉 금색에, ?단자를 기마크봉 은색에 대고 측정
측정결과   
▲ 측정결과 
  
7. 측정 결과<표 참조>
(1)측정시 주변 여건 : 온도 26.3℃, 습도 45.2%
(2)측정 결과(단위: ㏀)

8. 결과 해석
(1)보법, 제법 공히 정방향은 임의의 저항치를 보임으로 전류의 흐름이 확실하고, 역방향은 무한대(∞)의 전류치를 보임으로 전류의 흐름이 없음을 보여 준다.
(2)좌우 모든 금경에 기마크봉 금색과 은색을 이용해 보제를 할 경우 그 효과는 분명하고 확실하다.
(3)다시 말해서 금색과 은색의 기마크봉을 이용해 보제를 할 경우 그 효과는 확실한 바 장부의 허승을 확실히 구분해 정확하게 보제를 사용치 않으면 질병 치료의 효과가 전혀 없거나 또는 중대한 문제가 야기될 수 있음을 단편적으로 보여 준다.
(4)또한 기맥상의 보제 시 금색·은색 기마크봉간의 저항값 단위는 ㏁인데 반해 금경상의 보제 시 금색·은색 기마크봉간의 저항값 단위는 ㏀이다. 즉, 기마크봉으로 보제 시 금경이 기맥보다 더 강력한 효과가 있음을 입증하고 있다.

9. 실험에서 부족했던 점
(1)실험 대상자의 컨디션과 객관적인 실험 환경 상태 유지가 미흡했음.
(2)외부 환경요인인 전자기파, 기온, 습도, 날씨 및 전기 노이즈(noise) 등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함.
(3)재현성·반복성에 대한 충분한 자료가 확보되지 못함.
(4)기마크봉에 의한 금경 보제와 질병 치료와의 관계를 전기적으로 명쾌한 규명이 미흡했음.

10. 향후 과제
(1)유주의 방향성에 대한 전류, 전압 확인 방법 강구(적절한 실험 기기의 선정으로 유주의 방향성 확인 가능 여부)
(2)금경의 유주와 기마크봉 보제와의 연관성을 전기적으로 측정해 검증 가능 여부
(3)전류, 저항치 실험 결과 일정 범위(高, 低値)를 벗어날 때 즉 이상치가 나타날 때 장부의 허승 판별 해석 가능 여부
(4)증상 혹은 질환 시 기마크봉 보제를 통해 치료효과, 즉 증상 완화 혹은 해소 정도를 테스터를 사용해 입증 가능 여부
(5)시간대에 따른 금경별 전류, 저항치의 변화 정도
(6)금봉을 통한 금경상의 치료효과 규명

전민중 학술위원의 전체기사 보기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카카오톡
  • 네이버
  • 페이스북
  • 트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