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 회원들의 노력으로 인해 다소 긍정적인 제2차 의-정 협의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고 이번 협의 결과인 시범사업을 통해 원격진료의 잘못된 점을 인식하고 폐기할 수 있을 것이라고 믿는다"고 말했다. "앞으로 의-정 협의 결과에 따라서 후속조치 등 정부가 약속을 지키지 않을 때는 언제든지 투쟁을 벌일 수 있다는 의지를 보여달라"면서 "우리의 투쟁은 끝난 것이 아니라 잠시 유보된 것일 뿐이며 정부가 약속을 이행하지 않는다면 언제든지 부산시의사회는 나설 준비가 돼 있다"라고 전하며 의사들의 정부방침에 대한 강한 불만 표출로서 의협의 주장이 당분간 진행형임을 강조했다. |
||||||
그러나 노 협회장은 "정부가 협의 이행 약속을 지키지 않는다고 판단될 경우 언제든지 새로운 투쟁을 준비를 해야한다"면서 "다시 투쟁을 준비해야 한다는 사실을 전해서 유감스럽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의-정 간의 협의에는 여전히 의사들의 불신과 앙금이 존재하고 있음을 알렸고 잘못된 의료제도의 공론화로 현실성을 부각시키면서 아울러 의사들의 정부안에 대한 반대 입장을 국민들에게 전해야 하는 안타까운 심정과 집단휴진에 대한 입장도 밝혔다. |
||||||
의안심의에 들어가 회칙개정에서 개회 후 대의원의 이탈로 의결정족수 미달로 인한 회의진행의 차질을 방지하기 위해 이탈한 대의원을 재석대의원으로 산정한다는 회칙개정안이 총대의원 249명 중 재석대의원 109명으로 결국 과반수인 의결정족수 미달로 무산됐다. 11억 5천 8백여만 원의 2014년도예산안과 의료현안 문제 해결을 위한 T/F 운영, 학술대회 및 의권지킴이 정책연구반 운영 등 사업계획안을 원안대로 가결했다. 의협 안건으로 의약분업 재평가 및 선택분업 실시, 65세 이상 노인환자 진료비 본인부담금 기준 3만원으로 상향조정, 본인부담금 할인을 통한 환자유인행위 근절 등 안건을 통과시켰다. ▲대한의사협회장 공로패 강대식(부산시의사회 부회장) 김해송(부산시의사회 총무이사) ▲부산시장 표창장 석광호(부산시의사회 부회장) 김재헌(부산시의사회 부의장) 전명호(부산시금정구의사회 회장) 김지원(부산시북구의사회 회장) 최원락(부산시사하구의사회 회장) 박윤하(부산시연제구의사회 회장) 정재일(부산시의사회 학술이사) 추교용(부산시의사회 의무이사) |
Copyright @보건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