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 의료파업 불씨는 여전해

의협 및 부산시의사회, 정부안에 강한 불만

김경수 부산시의사회장   
▲ 김경수 부산시의사회장 
  
김경수 부산시의사회장은 "부산시의사회 회원들의 적극적인 협조로 14년 만에 전국 의사들이 총파업을 실시했다"면서 "부산시의사회는 시도의사회 중 가장 높은 휴진율을 달성할 수 있었다”고 회원들에게 감사의 인사를 전했다.

"부산시 회원들의 노력으로 인해 다소 긍정적인 제2차 의-정 협의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고 이번 협의 결과인 시범사업을 통해 원격진료의 잘못된 점을 인식하고 폐기할 수 있을 것이라고 믿는다"고 말했다.

"앞으로 의-정 협의 결과에 따라서 후속조치 등 정부가 약속을 지키지 않을 때는 언제든지 투쟁을 벌일 수 있다는 의지를 보여달라"면서

"우리의 투쟁은 끝난 것이 아니라 잠시 유보된 것일 뿐이며 정부가 약속을 이행하지 않는다면 언제든지 부산시의사회는 나설 준비가 돼 있다"라고 전하며 의사들의 정부방침에 대한 강한 불만 표출로서 의협의 주장이 당분간 진행형임을 강조했다.
노환규 대한의사협회장   
▲ 노환규 대한의사협회장 
  
"이번 의·정 협의의 결과에 의협회원들의 3분의 2의 찬성을 통해 마무리되는 듯했지만 정부가 계속 말을 바꿔 ,오늘 국무회의를 통해 원격진료 관련해서 선 입법 후 시범사업으로서 접수하는대로 국무회의 의결을 겨쳐 국회로 보내게 돼 이에 따라 많은 회원들의 혼란과 반발이 일어나고 있다"며 "정부가 입법절차가 복잡하고 까다롭기 때문에 불가피하게 일어난 일이라며 약속을 꼭 지킬 것임을 확인하는 공식문서를 보내왔다"고 밝혔다.

그러나 노 협회장은 "정부가 협의 이행 약속을 지키지 않는다고 판단될 경우 언제든지 새로운 투쟁을 준비를 해야한다"면서 "다시 투쟁을 준비해야 한다는 사실을 전해서 유감스럽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의-정 간의 협의에는 여전히 의사들의 불신과 앙금이 존재하고 있음을 알렸고 잘못된 의료제도의 공론화로 현실성을 부각시키면서 아울러 의사들의 정부안에 대한 반대 입장을 국민들에게 전해야 하는 안타까운 심정과 집단휴진에 대한 입장도 밝혔다.
좌 첫번째 추교용 의무이사.  맨 우측 이영활 부산시부시장   
▲ 좌 첫번째 추교용 의무이사. 맨 우측 이영활 부산시부시장 
  
부산시의사회는 3월 25일 부산롯데호텔에서 제52차 정기대의원총회를 열고 사업계획안과 예산안을 확정했다.

의안심의에 들어가 회칙개정에서 개회 후 대의원의 이탈로 의결정족수 미달로 인한 회의진행의 차질을 방지하기 위해 이탈한 대의원을 재석대의원으로 산정한다는 회칙개정안이 총대의원 249명 중 재석대의원 109명으로 결국 과반수인 의결정족수 미달로 무산됐다.

11억 5천 8백여만 원의 2014년도예산안과 의료현안 문제 해결을 위한 T/F 운영, 학술대회 및 의권지킴이 정책연구반 운영 등 사업계획안을 원안대로 가결했다.

의협 안건으로 의약분업 재평가 및 선택분업 실시, 65세 이상 노인환자 진료비 본인부담금 기준 3만원으로 상향조정, 본인부담금 할인을 통한 환자유인행위 근절 등 안건을 통과시켰다.

▲대한의사협회장 공로패 강대식(부산시의사회 부회장) 김해송(부산시의사회 총무이사)

▲부산시장 표창장 석광호(부산시의사회 부회장) 김재헌(부산시의사회 부의장) 전명호(부산시금정구의사회 회장) 김지원(부산시북구의사회 회장) 최원락(부산시사하구의사회 회장) 박윤하(부산시연제구의사회 회장) 정재일(부산시의사회 학술이사) 추교용(부산시의사회 의무이사)

류용현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카카오톡
  • 네이버
  • 페이스북
  • 트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