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여배우 자궁암 사망 '남의 일' 아니다"

산부인과의사회, "첫 성교 연령 어릴수록 위험도 증가…건강 지키기 위한 본인 노력 절실"

김아름 기자 2013.03.14 13:25:49

이달 초 중화권에서 드라마와 영화배우로 활약했던 쑹원페이가 27세의 젊은 나이에 자궁경부암으로 사망했다. 쑹원페이의 사망원인은 자궁경부암 진단 후에도 항암치료가 드라마 촬영에 지장을 줄까 봐 치료를 미루다 치료 시기를 놓친 것 때문이라는게 전문가들의 입장이다.

20대 자궁경부암 사망 환자가 흔하지 않지만, 맨체스터대학 연구진은 영국 20대 여성의 자궁경부암이 1992년에서 2006년 사이 43%나 급증해 20대 자궁경부암 환자가 10 만 명 당 5.5명에서 7.9명으로 늘어났다고 발표했다.

하지만 같은 기간 영국 여성 전체의 자궁경부암 발생률은 자궁경부암 예방백신 보급과 함께 감소하고 있어 대조를 보이고 있다. 20대 여성 자궁경부암 발병이 영국 뿐 아니라, 일본과 한국 등 아시아 지역에서도 증가 추세에 있다.

OECD 국가 중 자궁경부암 생존율이 가장 높은 우리나라도 5년 생존율 80.2%로 자궁경부암 환자 5명 중 1명꼴로 여전히 목숨을 잃고 있다.

주로 50세 전후에 발병하던 자궁경부암이 최근 들어 20~30대 연령에서 크게 늘고 있다는 것도 문제다.

통계청의 2010년도 국가 암 등록 통계에 따르면 자궁경부암은 15~34세 연령대에서 갑상선, 유방암에 이어 3번째로 발생, 전 연령대 중 가장 높은 발생순위를 보였다.

자궁경부암 발생 순위가 높은 35~64세 연령대에서 자궁경부암이 갑상선, 유방암, 위, 대장암에 이어 5번째 순서인 것과 대조적이다.

대한산부인과의사회 자궁경부암연구회 황종대 위원은 "자궁경부암이 주로 성관계를 통해 전파되는 인유두종 바이러스의 영향이 크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며 "20~30대 가임기에 발견하게 되면 임신과 출산계획도 차질이 생길 수 있다"고 밝혔다.

이어 "젊은층 자궁경부암 발병은 첫 성교 연령이 어릴수록 위험도가 증가할 수 있다"며 "어린 나이에 성관계를 시작하게 되면 면역학적으로 불충분하거나 미숙해 발암원이나 성교로 인한 외상, 침입한 미생물 또는 바이러스에 대한 감수성이 매우 높다"고 지적했다.

비만도 자궁경부암 발생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지방세포에서 분비하는 에스트로겐이 선세포의 분화를 촉진시켜 세포분화 과정에서 이형성 세포가 생길 확률을 증가시키기 때문이다.

황 위원은 "자궁경부암 국가검진의 혜택을 받기 시작한 30대 여성과 달리, 20대 여성은 자궁경부암 검진의 사각지대에 소외되고 있어 건강을 지키기 위한 본인의 노력이 더욱 절실하다"고 조언했다.
  • 카카오톡
  • 네이버
  • 페이스북
  • 트위치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