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의사협회는 최근 언론을 통해 알려진 에토미데이트와 아티반(로라제팜) 공급 중단 사태와 관련해 환자 안전을 심각하게 위협할 수 있다며 정부의 신속하고 근본적인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의협은 "이번 사태는 단순히 특정 약제에 국한된 문제가 아니라, 국민 생명과 직결되는 필수의약품 전반의 공급 불안정 문제를 드러낸 것"이라고 지적했다.
정부는 "공급 중단 약제에는 대체제가 있다"는 입장을 내놨으나, 이에 대한 구체적인 근거와 실제 임상 적용 가능성은 제시하지 못한 상태다. 의협은 지난 2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공문을 발송해 대체제의 존재와 사용 가능 여부를 명확히 설명할 것을 요구한 바 있다.
현재 ▲에토미데이트는 마약류 지정으로 인한 제약사 생산·유통 포기 ▲아티반은 제조기준 강화 및 퇴장방지의약품임에도 불구하고 공급 중단이 예고됐다.
두 약제는 응급의학과·신경과·소아청소년과·정신건강의학과 등에서 기도삽관, 뇌전증중첩증, 자살위험 환자 관리 등 생사를 다투는 상황에 필수적으로 쓰인다. 이에 공급이 끊기면 의료현장의 혼란과 환자 피해는 불가피하다는 것이 의협의 판단이다.
의협은 올해 초부터 각 학회·전문가 의견을 종합해 정부와 한국희귀필수의약품센터에 다수의 공식 의견을 제출해왔다.
이미 지난 2월 아티반은 자살위험·발작 환자 치료에 대체 불가 약제임을 전달했으며, 4월에는 에토미데이트 마약류 지정에 대해 '응급마취 필수 약제 접근성 저하'가 우려된다고 제출했다. 이와함께 5월에는 에토미데이트 공급 중단 시 '혈역학적으로 불안정한 환자의 마취·진정에 대체약 전무'하다는 의견을 제출한 바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부는 "대체제가 있다"는 모호한 설명만을 내놓고 있어, 의료현장에서는 불안이 커지고 있다.
의협은 "이번 사태는 정부가 의료계의 지속적이고 합리적인 의견을 반영하지 않은 결과"라며 "정부는 필수의약품 공급 안정화 방안을 즉각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앞으로도 환자 안전을 최우선 가치로 삼아, 필수의약품 공급 불안정으로 국민 생명이 위협받는 일이 없도록 끝까지 대응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