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머크, ESPE-ESE 2025서 성장호르몬 순응도 개선 위한 투약 솔루션 조명

'이지포드'·'그로젠 에코시스템' 치료순응도 개선 효과 발표​

홍유식 기자 2025.05.15 16:04:26

한국머크 바이오파마(대표 크리스토프 하만)는 지난 10일부터 13일까지 덴마크 코펜하겐에서 진행된 2025년 유럽소아내분비학회(ESPE) 및 유럽내분비학회(ESE) 공동 학술대회에서 자사의 성장호르몬 치료제 '싸이젠'의 자동화 투약 디바이스 '이지포드'와 디지털 투약 관리 솔루션인 '그로젠 에코시스템'의 치료순응도 개선 효과에 대한 최신 연구 데이터를 공개했다.

장기간 관리가 필요한 성장호르몬 치료에서는 순응도가 낮을수록 치료 효과가 제한되고 최적화된 성장 결과에 도달하지 못하므로, 치료 순응도 개선이 무엇보다 중요한 과제다. 한국머크는 이러한 과제 해결을 위해 이지포드와 그로젠 에코시스템 등 디지털 투약 관리 솔루션을 선제적으로 도입했다.

이지포드는 전자 자동화 투약 및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을 갖춘 전자식 디바이스로, 주사 바늘이 보이지 않아 소아.청소년 환자들의 주사부담을 낮춘다. 그로젠 에코시스템은 환자∙보호자용 그로젠 버디 앱과 의료진용 그로젠 커넥트 앱을 포함하는 디지털 솔루션으로, 이지포드 투약 정보를 자동 연동해 실시간 투약 이력 확인과 투약 주기 관리를 지원한다.

이번 ESPE에는 성장호르몬 치료 순응도 개선을 돕는 머크의 투약 관리 솔루션에 대한 최신 연구 초록이 발표됐다. 이지포드로 치료한 환자의 80% 이상이 연구 기간 동안 높은 순응도(≥85%)를 보였으며, 그로젠 에코시스템을 의료진이 적극 활용할수록 환자 순응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8년 6월부터 2023년 12월까지 이지포드®로 치료받은 프랑스 저신장 환자 481명의 치료 순응도와 주요 요인을 분석한 SCOPE연구에 따르면, 전체 환자의 85%가 높은 순응도(≥85%)를 보였으며 치료 초기 12~18개월 동안 환자 90% 이상이 높은 순응도를 유지했다. 나이에 따라서는 5세 이하 환자의 약 95%가, 5~12세 환자의 90%가 높은 순응도를 보인 반면, 12세 이후부터 순응도가 감소하면서 17세에서 높은 순응도를 보이는 환자가 72%로 감소해 조기 치료의 중요성이 부각됐다.

의료진의 그로젠 커넥트 활용 및 상호작용이 환자의 싸이젠 치료 순응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스페인 저신장 환자 3980명의 데이터를 분석한 연구 결과, 의료진이 그로젠 커넥트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환자들과 상호작용할수록 환자들의 치료 순응도 향상에 긍정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3일에는 한림대학교 강남성심병원 소아청소년과 이혜진 교수가 APAC 임상진료 세션에 연자로 참여해 '소아 성장 장애에 대한 한국 임상 진료 사례'를 주제로, 국내 성장호르몬 치료 현황과 이지포드 사용 경험을 공유했다.

 

  • 카카오톡
  • 네이버
  • 페이스북
  • 트위치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