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부인과 의사들이 정부와 일부 지방자치단체가 시행 중인 '한방 난임치료 국가지원 사업'의 즉각적인 중단을 촉구하고 나섰다.
직선제 대한산부인과개원의사회(회장 김재유)는 13일 "한방 난임 지원 사업은 과학적 근거가 부족하고 치료 안전성이 검증되지 않은 상태에서 시행되고 있다"며 "실제 임상적 효과도 미미한 만큼 즉각 중단돼야한다"고 밝혔다.
실제 대한의사협회 의료정책연구소가 2017년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한방 난임치료의 임신 성공률은 12.5%에 불과하다. 이는 아무런 치료 없이 경과만 관찰한 원인불명 난임 여성의 자연임신율(24.6~28.7%)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치로, 치료 효과에 대한 근본적인 의문이 제기할 수밖에 없다는 것.
이와함께 복지부가 같은 해 의뢰한 또 다른 연구에서도 한방 치료 후 임신율은 14.4%, 출산율은 7.78%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유산율은 46.2%에 달해, 치료의 안전성 측면에서도 심각한 문제를 드러냈다는 게 작선제 산의회의 측 지적이다.
아울러 산부인과의사회는 한방 치료의 약리적 안전성과 치료 표준화의 부재도 문제 삼았다. 식품의약품안전처가 2021년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한약재 목단피(牧丹皮)는 동물실험에서 자궁 내막의 착상률을 저해하는 효과가 확인된 것이 대표적인 예다.
직선제 산부인과의사회는 "이처럼 한방 치료에 사용되는 일부 약재는 착상이나 유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에도, 전반적인 안전성 검토는 미흡한 실정"이라며 "심지어 한방 난임치료는 표준화된 진단 및 치료 프로토콜이 없어 의료인 간 치료 편차가 크고 환자 안전을 일관되게 확보하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이어 "치료 특성이 임상 현장에서 난임 치료의 골든타임을 놓치게 할 수 있다"며 "실제로 효과를 보지 못하고 병원을 찾는 사례가 적지 않다. 이로 인해 전체적인 임신 성공률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고 우려했다.
이에 따라 직선제 산의회는 앞서 의협 한특위가 대한한의사협회(한의협) 측에 제안한 공개토론회를 지지하는 입장을 밝혔다.
앞서 의협 한특위는 △한방 난임지원의 효과성 △중금속 포함 한약재의 안전성 △한의대·의대 교육과정 비교 △한방 진단서의 공신력 등 4가지 주제를 중심으로 한 공개토론회를 한의협에 제안한 바 있다.
이들은 "수년간 사업이 지속됐음에도 효과성과 안전성에 대한 과학적 검증 없이 예산이 투입되고 있는데, 이는 명백한 재정 낭비"라며 "공공 정책의 정당성을 확보하려면, 투명하고 과학적인 공개 검증 절차가 반드시 뒤따라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