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의대생과 의사들 "의료 본질 지키기 위한 싸움 시작"

'의료정상화'와 '의대교육 정상화' 위한 전국의사궐기대회 개최
김택우 회장 "의사들 싸우는 이유 오직하나, 국민 지키기 위해"

김아름 기자 2025.04.20 15:01:54

"의료정상화, 의사들이 앞장선다"
"윤석열표 의료개악, 국민이 무너진다"
"정상적인 의대교육 정부가 보장하라"
"의료붕괴 책임자들 즉각 사퇴하라"
"대통령이 탄핵됐다, 의개특위 해체하라"

전국 의대생과 전공의, 그리고 의사들이 의료환경 정상화 촉구를 위해 한 자리에 모여 이 같이 외쳤다. 

특히 이날 모인 의사들과 의대생들은 의료 정상화를 위해 한 목소리를 내겠다고 결의했으며, 대한민국 의료를 지켜내겠다고 다짐했다. 

대한의사협회(회장 김택우)는 20일 서울 숭례문 일대에서 '의료정상화'를 위한 전국의사궐기대회를 개최했다. 

이날 궐기대회에는 각 지역의사회에서 의대생을 위한 버스를 지원, 전국에서 모인 의대생들이 '흰색 셔츠'를 입고 집결했다. 지난해 2월 이후 의대생과 전공의가 한자리에 대규모로 모이는 것은 처음이다. 

김택우 회장 

이날 김택우 회장은 대회사를 통해 "오늘 왜 우리가 이 자리에 모였냐"라며 "대한민국 의료의 붕괴를 막기 위해서고, 무너진 의학교육을 되살리기 위함"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 회장은 "의료인 처단까지 입에 올렸던 윤 전 대통령은 파면됐다. 의료계에 칼끝을 겨눴고 그 칼은 결국 그 자신을 향했다"며 "하지만 우리 후배들은 여전히 어두운 길목에 서 있으며, '돌아갈 명분이 없다'고 스스로 되뇌고 있다"고 한탄했다. 

그러면서 "이번 전국의사총궐기대회는 단순한 시위가 아닌 후배들이 돌아올 수 있는 명분을 우리 손으로 만들어주는 자리"라며 "지역의료, 필수의료의 붕괴는 미래가 아닌 현재의 모습이다. 수가체계는 여전히 비정상이고, 정부는 의사 탓만 하고 있는 현실을 너무 잘 알기에 우리는 이 싸움을 멈출 수가 없다"고 힘줘 말했다. 

또한 이날 모인 의대생과 전공의, 그리고 의사들을 향해 "우리 마저 침묵한다면 왜곡된 의료개혁은 '정의'라는 탈을 쓰고 계속 될 것"이라며 "우리는 틀리지 않았다는 것을 이제 후배들과 선배들, 전국 의사들이 함께 나서 외쳐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부의 명확한 입장도 재차 촉구하며 "이제는 정부의 답변을 기다리고 있을 수 만은 없다"고 말했다. 

교육부와 보건복지부는 정책 실패를 인정하고, 전공의와 의대생이 납득할 수 있는 수준의 사과와 대안을 제시해야 한다는 것. 이와함께 현재의 의료개혁안은 전면 재논의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회장은 "의대생과 전공의가 다시 교육현장으로 돌아오게 하려면 무엇부터 바로잡아야 하는지 명확히 인식해야 한다"며 "의료를 파괴한 정권, 결자해지의 책임을 다해야 하며 무책임하게 다음 정권으로 미루려는 행동은 용납될 수 없다"고 경고했다. 

이에 다가오는 대선에서 의료계의 목소리를 하나로 모으자고 당부했다. 보건의료 공약을 제안하고 후보들에게 책임있게 요구하며 국민 건강을 짐심으로 생각하는, 전문가의 손을 잡는 훌륭한 지도자를 선택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날 전국에서 모인 의사들은 △의료의 정상화, 의사들이 앞장선다 △윤석열표 의료개악, 국민이 무너진다 △잘못된 의료개혁, 대한민국 붕괴된다 △정상적인 의대 교육, 정부가 보장하라 △의료붕괴 책임자들, 즉각 사퇴하라 △대통령이 탄핵됐다, 의개특위 해체하라 △망가진 의료 환경, 정부가 복구하라 △세계 최고 의료환경, 국민에게 돌려달라 △처단대상 전공의, 기본권을 보장하라 △무분별한 의대 증원, 의료 환경 파괴된다 등 구호를 외쳤다.

이와함께 결의문을 통해 강력한 대응을 경고했다. 이들은 "의료는 결코 정치의 도구가 돼선 안 된다. 의료정책은 사회적 합의와 전문가 중심의 과학적 판단에 기반해야 한다"며 "지금 필요한 것은 정책의 강행이 아니라 무너진 의료시스템의 복원"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정부가 지난 1년간 '명령'과 '억압'으로 일관해 의료현장을 황폐화시켰다"며 "의대생과 전공의의 학습권·수련권을 침해한 위헌적 행정명령에 대해 공식 사과와 실질적 회복 조치를 취하라"고 촉구했다.

특히 각 대학의 교육 여건에 따른 의학교육평가 재인증과 교육 불가능한 의대에 대한 입학정원 조정 등 현실적 대안 마련을 요구하고, 전공의·의대생의 요구안을 포함한 보건의료 정책 재설계를 정부·국회에 요구했다.

 

  • 카카오톡
  • 네이버
  • 페이스북
  • 트위치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