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푸드 '푸드테크' 날개 달고 세계로

[인터뷰] 강혜영 농림축산식품부 푸드테크정책과장

이원식 기자 2023.09.13 10:46:52

강혜영 푸드테크정책과장은 "최근 미국에서 '대박'을 친 냉동김밥의 경우 한국에서 미국으로 수출할 때 '냉동'하거나 '해동'하는 기술 모두에 푸드테크가 적용된 것"이라고 말했다

"디지털 기술의 속도가 워낙 빠른 것처럼 푸드테크의 성장 속도 역시 예상하긴 어렵지만, K-푸드가 첨단기술을 만나 글로벌 시장에서 큰 주목을 받을 것이라는 점은 분명합니다."

강혜영 농림축산식품부 푸드테크정책과장은 지난 해 식품산업정책과를 이끌다 현재 과에서 농식품과 푸드테크의 발전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원래 식품산업정책과 업무 속에 푸드테크가 포함돼 있었는데 조직 개편을 통해 아예 전면에 나왔다. '식품' 분야가 줄고 농업 쪽에 편입된 것이 아니냐는 질문에 강 과장은 시각을 넓혀보자고 답했다.

"식품은 농업에 기반을 두고 있어요. 농업에서 식품산업이 발전하고, 식품산업은 다시 첨단기술을 만나 푸드테크로 진화하는 상황입니다. 이 푸드테크가 다시 출발점인 '농업'의 혁신을 이끄는, 하나의 새로운 생태계가 만들어진 것이죠."

현재 푸드테크가 왜 관심을 받는 것인지, 농업과의 상생은 성공할 수 있는지에 대한 답인 셈이다.

지난 5일 농업과 푸드테크의 상생 방안을 위해 마련된 기업 간담회는 이같은 사례를 잘 보여줬다. 원료를 공급하거나 푸드테크를 활용해 직접 소재나 제품을 만든 경우, 스마트 제조 기술을 활용해 불량률을 줄여 생산성을 높인 사례가 소개됐다.

또 농식품 생산자와 소비자를 연결시켜주는 플랫폼형 기업도 있고, 스마트 농장과 협력해 개인맞춤형 제품을 만들기 위해 위해요소를 크게 낮춘 원료를 적용한 기업도 있어 눈길을 끌었다.

한국이 앞으로 푸드테크산업을 선도하려면 역시 인력 양성이 중요하다. 농식품부는 주요 대학에 푸드테크 융합인재 양성 교육과정을 신설하고, 현재 8곳인 푸드테크 계약학과도 2027년까지 12개교로 확대할 계획이다.

농식품부가 현재까지 발굴한 푸드테크기업들은 약 119개 회사. 푸드테크를 활용하려는 식품·외식기업, 벤처기업, 스타트업 희망자들의 수요가 대폭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정부가 추진할 푸드테크 융합 연구지원센터가 관심을 받고 있다. 약 315억원을 들여 3년간 3개소에 센터를 설립한다는 프로젝트다.

푸드테크가 식품산업을 이끌어갈 대세는 맞지만, 인공지능(AI)이나 정보통신기술(ICT) 등 첨단기술과 맞물려 있어 아직 소비자들에게 낯선 면이 많다.

강 과장은 "최근 미국에서 '대박'을 친 냉동김밥의 경우, 한국에서 제조된 김밥을 미국으로 수출할 때 '냉동'하거나 '해동'하는 기술 모두에 푸드테크가 적용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국내 푸드테크기업들의 경쟁력이 예상보다 높아 세계 시장을 선도할 수 있다는 기대도 있다. 현재 세포배양식품 생산기술, 식물기반식품 제조, AI를 적용한 식품로봇, 스마트 제조·유통기술 등은 세계시장에서 경쟁력이 크다는 설명이다. 선진국가와 비교해도 약 90%에 근접한 기술력으로 격차를 줄이고 있다.

농식품부는 식품의약품안전처와 협의해 식물성 대체식품 표시 기준과 안전관리 규정 마련, 로봇 보도주행 허용 등을 위한 관련법 개정 등 푸드테크와 관련된 제도들을 정비할 계획이다.

강 과장은 "푸드테크는 모든 국가의 고민인 식량안보와 환경문제를 해결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라면서 "세계 시장에서 푸드테크산업이 우리나라 수출을 이끌 미래동력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 카카오톡
  • 네이버
  • 페이스북
  • 트위치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