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빠른 흡수, 낮과 밤 사용 노화예방"

'엔프라니 래스티안 레티노에이트' 획기적 주름개선효과

정혜숙 기자 2007.05.24 11:02:21

'엔프라니 래스티안 레티노에이트'   
▲ '엔프라니 래스티안 레티노에이트' 
  
복지부 국책과제로, 레티놀보다 8배 강한 '레티닐 레티노에이트' 성분개발 -------

엔프라니(대표 유희창, www.enprani.com)는 보건복지부 국책과제의 일환으로 안티에이징 화장품의 미래를 열어갈 차세대 성분 '레티닐 레티노에이트'를 세계 처음으로 개발에 성공, 이를 함유한 신제품 '엔프라니 래스티안 레티노에이트(ENPRANI LASTIAN Retinox8)'를 최근 새로 내놓았다.

'엔프라니 래스티안 레티노에이트'는 임상실험에서 레티놀 보다 8배 우수한 콜라겐 합성률을 보이며 굵은 주름 개선에 우수한 효과를 보였다. 기존 레티놀과 달리 아침과 저녁 모두 사용 가능하며 눈가, 입가는 물론 이마의 굵은 주름을 완화하는데도 우수하다.

연구진의 임상실험과 국책과제수행 결과자료에 따르면, 기존 레티놀 성분 대비 6시간 빠른 즉각적 피부 흡수로 4주사용 후 사용자의 90%이상이 눈에 띄는 주름 개선
효과가 있다고 밝혀졌다. (피부임상 공인인증기관인 '엘리드', '더마프로' 실험. 가격40ml / 12만원).

엔프라니 피부과학 연구소는 연세대 피부과, 서강대 화학과와 공동연구로, 주름개선 효과를 지닌 수 백 개의 레티노이드계 성분들 중 가장 유효한 성분인 '레티닐 레티노에이트(Retinyl Retinoate)'를 선별해 냈다. 식약청은 '레티닐 레티노에이트'에 대해 여타의 주름 개선 성분들(레티놀, 레티놀 유도체, 항산화 성분 등)보다 효능과 효과 면에서 매우 우수하고 빠른 주름개선 효과를 수반하며, 안정성 및 안전성이 뛰어난 성분임을 인증했다.

엔프라니의 이 신성분 연구는 2006년에 이르기까지 약 6년에 걸쳐 진행. 특히 레티닐 레티노에이트는 국가 주요정책사업으로 추진되고 있는 보건복지부의 '보건기술진흥사업' 과제로 선정, 국가로부터 연구비 지원을 받았으며 국내외 특허(미국 특허 획득, 일본 및 유럽 진행 중)와 국제 논문 발표를 통해 그 연구가치를 인정받기도 했다.

또한 미국 국제화장품원료인증기관(INCI)에 등록돼 향후 레티닐 레티노에이트 성분을 국내 및 해외 시장에 보급, 화장품 원료의 90% 이상을 수입에 의존하는 국내 현실에서 경쟁력 있는 원료 수출 역시 가능하다.

특히 태양광선 노출 실험(광안정성)결과 레티놀 성분은 2∼12시간 이내에 붕괴되는 반면, 레티닐 레티노에이트는 48시간 동안 안정성을 유지해 레티놀 성분 대비 4배에 달하는 우수한 광안정성이 판명됐다.

따라서 엔프라니만이 독자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레티닐 레티노에이트는 기존의 레티놀 성분 및 레티놀 유도체에 비해 그 효과와 안정, 안전성 면에서 월등히 업그레이드 된 성분임을 확인. 이러한 레티노에이트는 원료 제조 공정 자체가 매우 섬세하고 까다로워 원료의 가격이 매우 높은 축에 속한다. (레티놀 $4,000/kg, 리티닐 레티노에이트 $15,000/kg).

△특징 - 레티닐 레티노에이트는 기존 레티놀 대비, ① 8배 높은 콜라겐 합성 효과 ② 6시간 빠른 즉각적 흡수 ③ 절반에 불과한 저자극 ④ 기존 레티놀은 저녁에만 사용 가능, 레티노에이트는 아침·저녁 사용 가능하다.

...............................................................................

※ 레티놀, 그 10년 아성에 도전하다! =

<참고>- 통계청은 2019년이면 65세 이상 인구가 전체의 14%를 넘어서는 본격적인 고령화 사회가 될 것으로 예상. 이에 따라 노령의 건강과 미에 대한 관심과 노화를 지연시키기 위한 연구 역시 끊임없이 진행되고 있다.

'노화의 흔적을 찾아볼 수 없는 완벽한 아름다움'을 위해 2000년부터 안티에이징을 위한 화장품 신성분 연구와 개발을 시작. 지금까지의 대표적 안티에이징 성분인 '레티놀'의 경우 그 효과는 우수하나 낮은 피부 침투력, 광불안정성, 광독성, 피부 자극 등 많은 단점을 갖고 있어, 여러 제제와 제형의 개발로 피부 침투력을 높이거나 독성을 낮추는 등의 보완책을 동반해 제품에 적용해 왔다.
  • 카카오톡
  • 네이버
  • 페이스북
  • 트위치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