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MO 논란?’ 소비자에 정확한 정보 제공돼야

안전성 과학적 입증 노력 절실…식품과학자·기업 역할 커져

최근 유전자변형식품(GMO) 표시제와 관련한 사회적 협의체의 논의 자체가 중단된 것으로 알려지면서, GMO 논란이 다시금 촉발된 상황이다.

식품의약품안전처와 한국갈등해결센터는 지난해 12GMO 표시제 강화방안을 논의하고 사회적 합의를 도출하기 위한 ‘GMO 표시제도 개선 사회적 협의체를 공식 출범시켰다. 소비자·시민단체, 식품업계 대표 총 17명으로 구성된 협의체를 통해 유전자변형식품 표시제도의 개선방안을 논의하는 한편 사회적 합의를 이끌어 낼 계획이었다. 하지만 최근 시민·소비자단체가 논의를 중단하면서 협의체가 무산될 위기에 처해 있는 상황이다.

시민·소비자단체는 협의체에서 GMO 완전표시제에 대한 실마리도 찾을 수 없었고, 시행도 불가능하다는 입장만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식품산업계는 그동안 10여 차례의 회의 때마다 시민·소비자단체의 요구에 따라 GMO 완전표시제가 시행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우려에 대해 논의 의제로 제안하고, GMO의 안전성과 관련해 구체적인 근거를 가지고 논의해 볼 것을 지속적으로 요청한 것이 완전표시제를 무조건 반대를 한 것이 아니다라는 입장이다.

협의체는 그동안 GMO 표시제도와 관련 의제를 주제로 정례회의를 갖고, GMO 표시제 현황과 관련 문제점을 살피고 해외사례 등을 참고해 개선방안을 논의해왔다.

국내 식품업계는 시민·소비자단체가 GMO 안전성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논의를 회피하고, 잘못된 연구결과를 인용해 지속적으로 국민들에게 안전성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유전자변형생물체(Genetically Modified Organism, GMO)는 인류 먹거리를 해결하기 위해 육종이나 교배 등에 의한 기술로 식량자원의 증대에 노력해왔고, 첨단 생명공학의 발전으로 더 효율적인 기술들이 개발된 것도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지난 1일 열린 '2019 GMO 포럼'에서는 GMO 관련 주체들이 공동의 토론장에서 열린 마음으로 정확한 지식과 정보를 교류해야 한다는 공감대가 형성됐다.

GMO 식품 불안단편적 지식, 편견 넘쳐나

이같은 성과에도 불구하고 많은 국민들은 GMO를 나쁜 식품이거나 건강에 해로운 제품이라는 인식이 강한 편이다. GMO 식품의 안전성과 표시제도, 기준 역시 논란의 대상이다. 이같은 논란은 GMO 식품이 소비자들 자신과 직접적으로 연관이 있기 때문이다. 앞으로도 사회적 논란이 계속될 것임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최근 개최된 GMO 포럼에서는 소비자의 부정적 인식 상당 부분이 GMO 식품에 대한 단편적 지식과 편견이 더 큰 불신을 야기한다는 의견이 공감대를 형성했다.

한국소비자연맹이 지난 해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 소비자 358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생명공학 전문가와 식약처의 검증을 받아 작성된 교육으로 훈련된 강사가 소비자에게 정보를 제공한 후에 GMO에 대해 전체 응답자의 76.7%가 인식의 변화가 있다고 응답했고, 이 중 68.2%가 긍정적으로 변했다고 응답했다.

한국소비자연맹 이향기 부회장은 소비자들의 정보습득 경로로 가장 많은 응답이 TV매체와 인터넷이었는데, 대부분 긍정적 정보보다는 부정적 정보성향이 많아 GMO의 사회적 수용성을 좌우할 우려가 크기 때문에 불안감이나 왜곡된 정보를 차단시킬 다양한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는 지적도 있다고 밝혔다. 소비자의 신뢰가 높은 기관일수록 과학적으로 검증된 지식과 올바른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의견이다.

관련 전문가들은 GMO에 대한 올바른 인식제고를 위해서는 과학적 지식정보 제공이 요구되며 무엇보다 GMO 안전성에 대한 안심을 줄 수 있는 정부, 과학계(학계), 식품업계의 안전성을 검증하는 등의 사회적 여건 조성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한국식품과학회 박종현 회장은 “GMO 식품의 안전성은 여전히 논란이 되고 있지만 현대과학의 내에서 인정할 수밖에 없다는 쪽으로 의견이 모아지는 추세라며 객관적인 과학과는 별개로 의무 표시여부나 범위기준은 사회적인 합의에 의한 정책적인 문제로 접근해야 한다고 밝혔다.

특히 과학정보를 올바르고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균형감과 사명감을 가진 시민사회운동가들이 필요하며, 식품과학자들은 안전성을 보다 더 과학적으로 입증해주는 연구 역할이 요구된다”고 덧붙였다.


이원식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카카오톡
  • 네이버
  • 페이스북
  • 트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