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제약바이오 '제2의 반도체' 산업으로 키운다

5개부처 ‘바이오헬스 혁신 민관 공동 간담회’ 개최

정부가 바이오헬스 산업을 '제2의 반도체 산업'으로 육성 지원한다. 

15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유영민 장관),  산업통상자원부(성윤모 장관), 보건복지부(박능후 장관), 식품의약품안전처(이의경 처장), 기획재정부(방기선 차관보)는 ‘바이오헬스 혁신 민관 공동 간담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간담회는 차세대 유력산업인 바이오헬스산업을 미래 국가 기간산업으로 육성·발전시키고 이러한 발전을 기반으로 관계부처 장관들이 직접 현장의 의견을 듣기 위해 마련했다.

앞서 지난 4월 정부는 비메모리, 바이오, 미래형 자동차 3대 분야를 중점 육성해 세계시장 선도 기업 및 산업생태계를 조성할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바이오헬스는 성장 - 일자리 - 국민건강”의 삼중(三重) 유망 신산업으로 전 세계적인 인구 고령화와 건강수요 증가로 세계시장 규모가 빠르게 확대될 전망이다.

이러한 인식을 기반으로 최근 정부는 2017년 '제3차 생명공학육성기본계획(2017~2026년)', '제약·의료기기·화장품 산업 5개년 종합계획(2018~2022년)'을 수립했고, 지난해 '바이오헬스 산업 발전전략', '혁신성장 확산을 위한 의료기기 분야 규제혁신 및 산업육성 방안', '4차 산업혁명 기반 헬스케어 발전전략' 등의 대책을 내놨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 바이오헬스분야는 기반(인프라)·인재 등 상당한 잠재력을 축적해왔고, 최근 일자리 및 기술수출 증가 등의 성과를 이루어왔다.

최근 벤처캐피탈의 바이오헬스 분야 투자가 지속 증가하고 있고, 국내 제약기업 등에서 대규모 기술수출 성과가 나타나고 있다.

벤처캐피탈의 바이오헬스 분야 투자는 2017년 3788억원에서 지난해 8417억원으로 122% 증가했으며, 국내 제약기업은 2016년 이후 33개 신약 후보물질을 기술 수출해 약 10조 원의 수익을 창출했다. 제약·의료기기 등 제조업과 보건의료서비스 분야에서 최근 5년간 17만 개의 일자리가 증가하는 등 고용 기여도가 높아지고 있다.

바이오헬스산업의 중·장기 혁신성장 동력을 더욱 높이기 위해서는 산업 현장의 목소리를 정책에 적극 반영하여 현장중심형 발전 정책의 수립이 필요하다는 판단이다.

업계는 바이오헬스 발전을 위해서는 연구개발(R&D) 투자 확대, 전후방산업 육성, 전문인력 양성, 해외시장 개척 등 산업 생태계 기반(인프라)의 강화와 함께  임상시험 및 인허가 기간 단축, 의료데이터 활용 등 규제개선과 제약바이오 수출 지원 등도 요구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 등 관계부처 장관들과 식품의약품안전처장 등은 “혁신주체인 ‘기업’과 조력자인 ‘정부’가 긴밀히 협력한다면 바이오헬스가 ‘제2의 반도체’와 같은 기간산업으로 도약할 수 있는 저력이 충분하다”고 말했다.

아울러 “제약·바이오 기업인들이 겪는 현장 애로와 건의사항을 허심탄회하게 개진해 주시면 이를 해결하고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을 관계부처가 함께 고민하고 모색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또한 “업계의 건의 사항을 수렴하여 대한민국이 글로벌 바이오헬스 강국으로 도약할 수 있는 구체적인 정책 방안을 조만간 마련해 시행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홍유식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카카오톡
  • 네이버
  • 페이스북
  • 트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