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관세 장벽 해소·수출 지원정책 마련 선행돼야

[신년기획/ K-푸드 영토확장 나선다] 식품산업 세계화 방안

조일호 한국식품산업협회
전무이사

농림축산식품부 출범과 함께 식품산업진흥정책이 본격적으로 추진된 지 10년이 지난 시점에서 국내외에서 K-FOOD의 영토확장을 위한 노력은 사회, 문화 저변으로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국가적으로는 작년 2018년 세계인의 축제인 평창동계올림픽 기간 중 ‘K-Food Plaza’ 개관을 통해 우리 한식·식문화를 전시·체험할 수 있도록 복합공간을 조성해 우리 한식의 우수성, 독창성과 브랜드 가치를 세계인에게 알린 바 있다.

농림축산식품부에서는 20184월 식품·외식산업을 미래산업으로 도약시키기 위해 ‘2018~2022 식품산업진흥기본계획발표를 통해 식품산업의 혁신 생태계를 조성하는 한편, 신남방정책의 일환으로 성장 잠재력이 큰 아세안을 중심으로 해외에 기 진출한 국내 대형유통업체와 글로벌 유통채널, 현지 공동 물류망을 적극 활용해 수출시장의 다변화를 도모한다는 계획을 추진 중에 있다.

이러한 노력을 기울여온 결과 연매출액이 1조원 이상인 식품기업은 20078개사에서 201720개사로 2배 이상 증가했고, 농식품 수출액도 200738억달러에서 2017년에는 68억달러로 확대됐다.

베트남 등 동남아 수출 크게 늘어

식품산업은 국산 농산물의 주요 소비처이면서 농업뿐 아니라 문화·관광 등 전후방산업과 밀접한 연관을 지니고 있어 국가 경제 성장을 선도할 수 있는 산업이다.

아시아·태평양 지역을 중심으로 글로벌 식품시장의 규모가 크게 증가하고 있어 우리 식품산업의 세계화 또한 중요도가 점차 높아지고 있다. 특히 최근 한류확산에 힘입어 동남아시아 수출이 크게 늘어나고 있다.

더 긍정적인 면은 베트남 등 현지인들이 한국산 프리미엄 식료품에 대한 구매 수요가 확대되고 있다는 평가이다.

20191월부터 한-아세안FTA 관세율 양허 계획에 따라 모든 음료 품목에 무관세가 적용되면서 동남아 음료 수출이 증가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어, 국내 음료기업의 수출전망 역시 밝은 편이다.

한국식품산업협회에서도 이러한 흐름에 발맞춰 국내 식품기업의 수출 확대를 위해 정부와 유관기관과 함께 민관수출협력지원사업 모델로 자리매김한 베트남, 인도네시아 K-FOOD 사업을 2017년부터 추진 중에 있다.

2018년에는 베트남 최대 유통업체 중 하나인 빈마트(VinMart)MOU 체결을 통해 우리 식품기업의 신속한 현지 시장 진입이 가능하도록 지원 노력을 강화하고 있다.

-인니 식품산업발전방안간담회에서는 인도네시아 산업부와 식약청에서 참가해 인도네시아 식품 시장현황과 수출통관제도에 대한 발표가 있었으며 수출 기업과 aT센터 자카르타 지사장을 초청해 수출애로 사항 등을 논의했다.

할랄식품 최대시장인 인도네시아에서는 한국식품 브랜드들이 주목을 끌었다. 한국식품의 선호도가 높아져 향후 수출 확대로 이어질 전망이다.

식품산업협회 ‘K-FOORAND’ 성료

한국식품산업협회는 차별화된 공동 마케팅 사업인 ‘K-FOORAND’ 사업을 추진해 지난 해 8~11월까지 3개월 동안의 행사를 성황리에 마무리했다.

국내 10개 기업들은 수도인 자카르타를 중심으로 롯데마트 4개점에 K-FOO RAND 특별존을 구성해 판촉, 시식행사를 진행했으며, SNS 등 온라인 채널을 통해 한국식품에 대한 홍보를 적극 추진했다. 특히 인도네시아에 진출을 희망하는 기업들에게 롯데마트 입점비를 지원하고 신규입점에 기회를 제공해 참가 기업들의 호응을 이끌었다.

올해는 한국식품산업협회가 식품안전과 식품산업 규제 등에 대해 합리적인 제도개선 방안을 제시하고, 해외시장 진출지원 등 식품산업발전을 위해 앞장 선 지도 50년이 되는 해이기도 하다. 식품업체 상호간의 이익과 식품산업 발전에 기여한다는 초심을 되새기며 그동안 축적한 경험을 바탕으로 식품기업과 정부와의 상호협력적인 인프라를 더욱 굳건히 구축해 나갈 것이다.

앞으로도 협회에서는 글로벌 식품기업 육성을 위해 수출유망국가 신규 채널 개척, 마케팅 강화 등 안정적인 시장구축 노력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방침이다.

아울러 정부와 관계기관과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수출 상대국의 비관세 장벽해소, 수출 유망국가에 대한 다양한 수출확대 지원정책이 마련될 수 있도록 노력할 계획이다.


이원식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카카오톡
  • 네이버
  • 페이스북
  • 트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