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품 부작용 보고 3년간 61만건…24.7% 증가

성일종 의원, 전담 인력 고작 10여명에 불과…인과관계 연구하기에 부족

·

최근 3년간 식약처에 보고된 의약품 부작용 보고건수가 61만530건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성일종(자유한국당, 충남 서산·태안)의원이 식약처로부터 제출 받은 ‘지난 3년간 의약품 부작용 보고 현황’ 자료를 공개했다.

이 자료에 따르면 의약품 부작용이 2014년 18만3554건, 2015년 19만8037건, 2016년 22만8939건으로 나타나 해마다 늘면서 지난 3년간 24.7%가 증가한 것으로 확인됐다.

부작용 보고 건수 비중이 높은 의약품 상위 10개 품목 중 4개 품목의 경우 지난 3년간 꾸준히 보고 건수 비중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X선조영제가 2014년 7.94%, 2015년 7.95%, 2016년 7.97%로 차지하는 비중이 늘었으며 합성마약도 6.19%, 7.08%, 7.76% 화학요법제 3.06%, 3.06%, 3.18% 소화성궤양용제 3.99%, 3.67%, 3.78%로 드러났다.

실제로 2012년부터 식품의약품안전관리원에서 관련업무를 담당하지만, 전담 인력은 고작 10여명에 불과해 단순 정보수집에도 급급한 실정이다.

특히 안전정에 대한 정보 취합 역시 의무가 아닌 자발적 제공 정보에 그치고 있어 인과관계를 연구하기에는 부족한 수준으로 알려졌다.

성일종 의원은 “미국, 일본과 같은 선진국은 의약품 부작용으로 인한 사회적 비용을 계산하고 이를 줄이기 위한 대책으로, 약물 부작용 기초자료인 안전성 정보와 진료, 처방 등 의료정보가 담긴 전자의무기록(EMR)을 연계·분석하면서 인과관계를 연구하기 시작했다”고 지적했다.

성 의원은 또 “우리나라의 경우 자발적인 제공 정보를 취합하고 있어 경미한 부작용 신고가 되지 않고, 여러 약 처방 시 어떤 약에서 부작용이 있는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연구용 데이터로 사용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한 수준이다”면서 “약물과의 인과관계를 분석할 수 있는 분석시스템을 갖추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강성기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카카오톡
  • 네이버
  • 페이스북
  • 트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