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 국가책임제 “공공·민간병원에 고른 지원 필요”

‘치매 국가책임제 하에서의 지역 병원의 나아갈 길’ 심포지엄

문재인 정부의 ‘치매 국가책임제’가 성공을 거두기 위해서는 민간병원의 적극적인 참여 유도와 공공병원과 민간병원에 같은 수준의 지원이 있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이 같은 내용은 서남의대 명지병원(병원장 김형수)이 지난 12일 병원 대강당에서 개최한 ‘치매 국가책임제 하에서의 지역 병원의 나아갈 길’ 주제의 제2회 치매관리사업 심포지엄에서 공론화 됐다.

이날 패널로 참여한 경기도 보건복지국 건강증진과 서근익 건강정책팀장은 “치매관리법 개정안에는 치매안심병원 지정을 받는 의료기관에 정부가 1년간 시설장비를 지원하고, 특히 공공병원이 지원하면 우선한다는 내용이 있다”며 “하지만 공공병원은 민간병원에 비해 그 수가 너무 적기 때문에 민간병원도 적극 참여해 국가 치매책임제 실효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같이 노력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이현숙 광명시보건소장은 “치매환자들은 시설로 보내야한다는 인식이 있는데, 이것을 바꿀 수 있도록 지역병원에서 서비스를 확대하는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며 “보건소의 치매안심센터 운영상 치매환자가 집에 더 있어도 되는지 등을 모두 판단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지역병원들의 지원이 절실하다”고 밝혔다.

명지병원 백세총명치매관리지원센터 주관으로 개최된 이번 심포지엄에서는 문재인 정부가 치매를 국가가 직접 관리하기로 한데 따른 효율적인 치매관리 방안과 지역사회 치매예방과 관리 강화를 위한 민간병원의 역할을 모색하는 자리였다.

이에 앞서 우종인 한국치매협회장(서울의대 명예교수)이 좌장을 맡는 제1세션에서는 서울시 노원구치매지원센터장 이동우 교수(인제의대)가 ‘국가치매정책의 현황과 계획’, 경기도광역치매센터장 김우정 교수(서남의대 명지병원)가 ‘지역사회에 기반을 둔 병원의 치매관리사업 운영방향’, 최영희 청풍호노인사랑병원 뇌건강증진센터장이 ‘치매거점병원 운영경험과 지역사회에서의 역할’에 대해 발표했다.

이동우 교수는 “치매 국가책임제의 취지는 지역 격차 없는 평등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라며 ”국가가 전적인 책임을 지는 것보다 민간이 협력하는 모델이 바람직하다”고 강조했다.

경기광역치매센터 김우정 센터장(명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은 명지병원이 성과를 거두고 있는 치매관리사업의 모델을 소개하며 “병원과 지역사회 연계와 인지재활 기반의 통합적 치매관리 서비스 제공 등이 성공 요인”이라고 밝혔다.

또 인천광역시 광역치매센터장 연병길 교수(가천대 길병원)가 좌장을 맡는 패널토의에서는 ‘지역사회 치매예방·관리 강화와 지역 민간병원의 역할’을 주제로 김기원 중앙치매센터 부센터장(분당서울대병원 교수), 서근익 경기도 보건복지국 건강증진과 건강정책팀장, 이현숙 광명시보건소장(경기도치매협의체 위원), 김영애 수원VIP실버케어 원장(한국치매협회 전문위원), 김근홍 강남대학교 사회과학대학·사회복지대학장(중앙치매센터 전문위원) 등이 패널로 참가했다.

이번 심포지엄에 참석한 최성 고양시장은 인사말을 통해 “가족 경험을 통해 치매의 심각성을 절감했다”며 “국제적으로 인정받은 명지병원의 치매관리 노하우와, 고양시, 그리고 한국치매협회 등이 치매관리의 모범적 모델을 세우는데 힘을 모으자”고 제안했다.

이어 “조만간 ‘치매 국가책임제 하에서의 지방정부의 역할’에 대한 2차 심포지엄 개최하겠디”고 밝혔다.

이왕준 명지의료재단 이사장은 “2013년부터 ‘백세총명’을 치매관리의 브랜드화 하고, 5년 동안 치매관리사업을 매진해왔다”며 “고양시가 지역사회에서 치매관리 보살핌 수준을 높이는데 명지병원의 노하우를 아낌없이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명지병원은 오는 9월 치매의 치료와 연구의 최신지견에 대한 심포지엄을 개최할 예정이다.


김아름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카카오톡
  • 네이버
  • 페이스북
  • 트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