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의약품 산업 총 생산액 140조 육박

2020년 실적 전년비 7.2% 증가… 마스크·손소독제·진단시약 성장 두드러져

이원식 기자 2022.01.27 10:48:17

지난 2020년 식·의약 산업의 총 생산실적이 증가한 가운데 방역물품에서 두드러진 성장세를 보였다. 식·의약품 생산·유통 통계에서 관찰된 코로나19와 관련한 세부적인 변화는 의약외품·의료기기 시장 재편, 거리두기·건강 관심에 따른 소비 패턴 변화로 요약된다.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김강립)가 2020년 식·의약품 통계자료를 바탕으로 발간한 ‘2021년 식품의약품통계연보’를 분석한 결과, 코로나19 발생 첫해인 2020년 식·의약품 산업은 전년대비 총 생산액이 증가했고, 특히 마스크·손소독제·진단시약 등 코로나19 관련 방역물품 산업을 중심으로 성장세가 두드러졌다.

2020년 식·의약품 산업의 총 생산액은 139조9500억원으로 2019년 130조5600억원 대비 약 7.2% 증가했다.

특히 마스크·손소독제가 포함된 의약외품 생산액과 코로나19 진단시약 등 의료기기 생산액은 각각 3조7100억원, 10조1400억원으로 전년대비 각각 120.9%, 39.2% 증가했다.

식·의약품 산업 총 생산액의 약 60%를 차지하는 식품산업의 생산액은 전년대비 4.1% 증가한 84조 3300억원으로 식·의약품 산업의 성장세를 안정적으로 뒷받침했다.

식·의약품 산업의 총 수출액은 36조1200억원, 총 수입액은 47조8400억원으로 전년대비 총 수출액은 31.0%(’19년 총 수출액 27조5800억원), 총 수입액은 2.0%(’19년 총 수입액 46조 9000억원) 증가했다.

진단시약 해외수출 급증…의료기기 무역수지 흑자

코로나19로 인한 경기침체에도 불구하고 전년대비 수출액이 증가한 주된 원인은 완제의약품과 체외진단 의료기기의 수출액이 각각 7조9300억원(’19년 수출액 4조800억원), 4조2000억원(’19년 수출액 5800억원)으로 크게 늘었기 때문이고, 화장품 분야의 수출액도 8조2877억원(’19년 수출액 7조6086억원)으로 사상 최대치를 달성한 것이 원인으로 분석됐다.

의약외품의 경우 코로나19 예방목적으로 마스크와 손소독제의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생산액은 전년대비 120.9% 증가한 3조7100억원, 국내 시장규모도 전년대비 145.8% 증가한 3조5000억원으로 나타났다.

특히 마스크 생산액은 2조 483억원으로 전년대비 약 9배(818.1%) 증가해 최근 3년 간 1위 품목인 치약제를 밀어내고 생산액 1위(점유율 55.1%)를 차지했고, 외용소독제(손소독제, 손소독티슈 등) 역시 생산액 3,890억원으로 전년대비 약 10배(926.4%) 증가해 2위(점유율 10.5%)를 차지했다.

의료기기의 경우 코로나19 확산으로 진단시약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생산액은 전년 대비 39.2% 증가한 10조1358억원을 기록했고, 진단시약의 해외수출에 힘입어 무역수지가 최초로 흑자로 전환됐다.

특히 체외진단 의료기기 생산액은 3조3549억원으로 전년 대비 약 6.3배(553%) 증가했으며 그중 코로나19 진단시약(고위험성 감염체 유전자검사)의 생산액은 1조4267억원으로 전년대비 약 26.4배(2,535%) 증가해 최근 3년간 생산액 1위를 기록하던 치과용임플란트를 2위로 밀어내고 1위를 차지했다.

사회적 거리두기, 재택근무 활성화

간편식·배달음식 소비 증가로 일회용 젓가락 생산액과 수입액이 각각 277억4200만원, 349억8700만원으로 전년대비 60.5%, 11.9% 증가했으며, 즉석조리식품 생산액도 1조7000억원으로 전년대비 13.6% 증가했다.

또 온라인으로 생필품 구매가 늘어남에 따라 해외직구도 증가해 해외직구식품 구매건수·금액이 전년대비 각각 28.7%, 21.0% 증가했고, 수입식품 등 인터넷 구매대행업체 수 역시 전년대비 123.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마스크 착용과 사회적 거리두기 등으로 인한 국내 소비 위축으로 생산·수출입에 변화를 보인 품목도 있었다.

그간 의료기기의 생산·수입 분야에서 강세를 보여온 1회용 소프트콘택트렌즈의 경우 생산액은 전년대비 18.7% 감소해 생산액 순위가 4위에서 6위로 낮아졌으며, 수입액 역시 40.2% 감소해 수입액 순위도 1위에서 6위로 낮아졌다.

화장품의 경우 수출액은 8조2877억원으로 전년대비 8.9% 증가해 무역수지 흑자액 7조원 돌파에 기여했으나, 생산액과 수입액은 전년대비 각각 6.8%, 12.3% 감소했으며 특히 색조 화장품 생산액은 전년대비 21.5%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별 건강에 대한 관심도 증가

코로나19로 평상 시 건강관리와 면역력 증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건강기능식품의 매출액은 3조3254억원으로 전년대비 12.7% 증가했다.

건강기능식품 매출액 1위는 면역력 증진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홍삼 품목으로 홍삼의 2020년 점유율은 31.9%(1조 609억원)이었다.

또 항산화·구강에서의 항균작용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프로폴리스 추출물 품목과 활동량 감소로 인한 신체기능 보완(유익균 증식 및 배변활동 원활)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프락토올리고당 품목의 매출액도 각각 114.9%, 125.7% 증가했다.

또 샐러드, 절단과일 등 신선편의식품의 생산액도 2059억원으로 전년대비 24.4% 증가했으며, 일상 속에서 건강관리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소비트렌드는 앞으로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 카카오톡
  • 네이버
  • 페이스북
  • 트위치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