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우울·자살생각 등 정신건강 지표 여전히 높아

복지부, 코로나19 국민 정신건강 2분기 실태조사 "심리지원 강화 필요"

홍유식 기자 2021.07.26 15:16:11

코로나19로 인한 우울, 자살생각 등 국민의 정신건강 지표는 여전히 높은 것으로 파악돼 심리지원 강화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복지부(장관 권덕철)는 26일 코로나19로 인한 국민 정신건강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코로나19 국민 정신건강 실태조사(한국트라우마스트레스학회 수행)'를 실시하고, 2분기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국민 정신건강 상태 파악을 통해 국민에게 필요한 정신건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심리지원 대책의 일환으로 2020년부터 분기별로 실시해 오고 있다.

조사 결과 우울위험군은 3월 22.8%에서 6월 18.1%로, 자살생각 비율은 3월 16.3%에서 6월 12.4%로 감소하는 등 전 분기 대비 국민의 정신건강 수준이 다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조사 시기의 하루 평균 확진자 수가 400명대로 코로나19 상황이 비교적 안정적이었고 백신 접종 확산,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 발표 등에 따라 일상복귀 기대감이 국민 정신건강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줬을 것으로 분석된다.

그러나 여전히 우울, 자살생각 비율이 높은 수준이며 7월에 거리두기 강화 등 방역상황 변화에 따라 심리지원 강화가 필요한 상황이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국민의 ‘우울’ 평균점수는 5.0점(총점 27점)으로 3월 조사 결과(5.7점)에 비해 감소했고 우울 위험군(총점 27점 중 10점 이상) 비율도 18.1%로 3월 조사 22.8%에 비해 4.7%p 감소하며 코로나19 발생 초기 수준으로 회복했다.

그러나 코로나19 발생 이전인 2019년 지역사회건강조사 결과인 우울 2.1점, 우울위험군 3.2% 수치와 비교하면 여전히 매우 높은 수준이다.

연령별로는 20대, 30대가 우울 평균점수와 우울 위험군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우울 평균점수는 20대가 5.8점, 30대에서 5.6점으로 확인되며 30대는 2020년 첫 번째 조사부터 꾸준히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20대의 경우 조사 초기에는 가장 낮았으나 급격하게 증가해 최근 조사에서는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20대, 30대 우울 위험군 비율은 각각 24.3%, 22.6%로, 50대‧60대(각각 13.5%)에 비해 1.5배 이상 높아 젊은 층이 코로나19로 인해 정신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더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로는 우울 점수와(남성 4.7점, 여성 5.3점) 우울 위험군(남성 17.2%, 여성 18.9%) 모두 여성이 남성보다 높게 나타났다.

우울 점수는 20대 여성이 5.9점으로 모든 성별·연령대 중 가장 높았고, 우울 위험군 비율은 20대 남성이 25.5%, 30대 남성이 24.9% 순으로 모든 성별·연령대 중 가장 높았다.

6월 자살생각 비율은 12.4%로 3월 조사 결과인 16.3%에 비해 3.9%p 감소했다. 다만 2019년 4.6%(2021 자살예방백서)의 약 2.5배 수준으로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우울 분야와 마찬가지로 20대와 30대가 각각 17.5%, 14.7%로 가장 높았고 50대는 9.3%, 60대는 8.2%로 나타났다. 반면 자살생각은 남성이 13.8%로 여성(11.0%)보다 높았다. 특히 20대 남성과 30대 남성이 각각 20.8%와 17.4%로 모든 성별·연령대 가운데 가장 높게 나타났다.

코로나19에 대한 두려움은 평균 1.6점(3점 기준)으로 지난해 3월 1.7점, 12월 1.8점, 올해 3월 1.7점에 이어 전반적으로 감소했다.

이는 백신 접종 확산, 치명률 감소 등이 코로나19에 대해 느끼는 두려움을 감소시키는 데 영향을 준 것으로 풀이된다.

코로나19에 대한 불안 역시 평균 3.9점(총점 21점)으로 나타나며 3월 조사 4.6점에 비해 0.7점 감소했으며 전반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다.

일상생활 방해 정도의 경우 총 10점 중 5.1점으로 지난 3월 조사(4.4점) 결과보다는 상승했으나 코로나19 발생 초기(5.6점)에 비해서는 낮아진 수치이다. 영역별로는 사회‧여가활동(6.4)에서 방해 정도가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가정생활 방해(4.6), 직업방해(4.4) 순으로 나타났다.

심리적지지 제공자는 가족이 64.2%로 가장 많았으며 친구 및 직장동료가 21.3% 없다고 응답한 경우도 8.4%로 나타났다.

특히 심리적 어려움을 대처하는 데 도움이 되는 사람이 없다고 대답한 비율은 정신건강 고위험군이 높게 나타난 30대, 20대에서 각각 12.6%, 11.1% 순으로 다른 연령대(40대 6.0%, 50대 5.6%, 60대 7.9%)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필요 서비스의 경우 감염병 관련 정보(87.6%), 경제적 지원(77.5%), 개인 위생물품(77.5%) 지원 순으로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정신건강에 대한 정보·심리상담 등 정신건강 서비스 수요도 코로나19 발생 초기에 비해 지속적으로 증가 하고 있었다.

보건복지부 염민섭 정신건강정책관은 “이번 조사를 통해 코로나19로 인한 어려움이 종식되면 국민들의 마음건강이 회복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으나 정신건강 수준이 여전히 심각한 상황”이라며 “7월부터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로 심리적 어려움이 가중되고 전문가들도 재난 발생 2~3년 후 자살 증가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어 국민 마음건강 회복을 위해 장기적인 관점에서 촘촘하게 지원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 카카오톡
  • 네이버
  • 페이스북
  • 트위치
맨 위로